DESCRIBE 대개 법주는 요령을 흔드는 것 - '진령振領'이라고 하는 상징으로 대표되어 요령을 잡는다. 바라지는 목탁을 잡으며 의식문에서 이를 요령과 목탁지시로 법주와 바라지의 독송부분을 구분하였다. 바라지는 우리말에서도 뒷바라지, 옥바라지 등 옆에서 돕는 것을 의미한다. 어원 중에 하나로 알려진 것은 창문으로, 햇볕을 받기 위해 벽 윗쪽에 내던 작은 창을 의미하며 창문처럼 두 짝으로 여닫게 된 것을 쌍바라지, 한약방에서 약봉지를 주고받기 위해 낸 작은 창을 약계바라지라고 하였다. 절에 상주 하지 않는 스님을 초청하여 의식을 돕게 하는 스님을 재바라지라고 부르는데, 재바라지는 선종중심의 한국불교에서 때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하였다.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