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 오응선(吳膺善)을 찾아가 동학에 입도, 김창암(金昌巖)에서 김창수(金昌洙)로 개명1895 안태훈의 배려로 신천군 청계동 산채에 의탁, 안태훈의 장남 안중근을 만남화서학파 계승자 후조 고능선高能善을 만나서 유학 공부1898 동료죄수들과 함께 탈옥, 공주 출신 승려 이서방을 따라 마곡사에 도착, 출가(은사, 하은당)1899 금강산으로 향한다는 명분으로 마곡사를 떠남, 동료 승려를 비밀리에 고향으로 보내 부모와 상봉, 평양 대보산(大寶山) 영천암(靈泉寺) 주지, 환속1918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경무국장(警務局長)1922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총장1926 12.14 임시정부 국무령에 선출, 국무령제를 폐지하고 국무위원제로 제도 변경1927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주석1932 도왜실기(중국어) 편찬1946 도왜실기(한국어) 편찬1949 6.26. 암살(서울 서대문구 평동 평교장, 72세), 안재홍(安在鴻), 백범김구선생약사(白凡金九先生略史) 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