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9 경기도 양주군 도봉산 망월사에서 출가, 은사 함하1903 0315 경북 문경 마하연에서 환착강백에서 법경이란 호를 받음1912 전주군 청수정에 포교당 건립, 전라북도장관(도지사) 이두황(李斗璜)의 발기로 불교연구회 조직1915 12 전라북도 전주 위봉사(威鳳寺) 포교사1916 10 위봉사 주지 취임 인가1917 0130 본산연합사무소 상치원(常置員)에 선임1917 08 일본시찰단 일원으로 일본 각지 시찰, 시베리아 출병 일본군 지원후원금 모금1919 0130 본산연합사무소 감사원1919 1119 위봉사 주지 재임인가1919 11 위봉사 단신도(壇信徒) 총대표 김형렬(金亨烈) 등이 주도한 태을교(太乙敎) 사건에 연루, 전주포교당이 해산당함, 6개월간 구속, 무죄로 석방1922 01 10개 본산 청년승려들과 함께 총무원 설립, 임시총무원장1922 05 본산 주지총회, 재단법인 조선불교 중앙교무원 설립준비위원, 학무이사 1923 04 위봉사 주지 임기만료, 재취임인가(조선총독부)1923 06 겸직하던 김제 금산사 주지 취직인가 취소, 경성 안국동 선학원주1925 02 불상매각, 사찰재산 횡령 등의 사건으로 고발당함, 사찰령 시행규칙 제5조에 의해 주지인가 취소1925 종교적 일선융화日鮮融和를 표방하여 조선불교혁신회 창립1926 03 메이지천황, 고종태황제 봉안 사찰건축 건백서 일본내각에 제출, 각하됨.1935 총독 우가키가 주창한 심전개발운동에 참여, 강사로 활동, 김제군 불교연합회 전임포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