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경 | 권상로 權相老1879-1965, 경상북도 문경퇴경당(退耕堂), 안도쇼로(安東相老), 몽찬(夢燦), 사불산인(四佛山人), 운양사문(雲陽沙門)권찬영(權贊泳, 부) 서진(瑞眞, 은사), 이회광(李晦光, 구족계사), 영안(永安), 안진호1896 김룡사(金龍寺)에서 출가(18세)1903 영안에게 인가받고 김룡사에서 강석(講席) 개설(34)1906 명진학교(明進學校) 입학, 3개월 후 자퇴고성 건봉사에서 설립한 봉명학교(鳳鳴學校) 운영에 참여1909 원종(圓宗) 종무 편집부장1911 문경 대승사(大乘寺) 주지1912 조선불교월보사 편집인 및 발행인1917 9월 불교시찰단원1918 김룡사 경흥학교(慶興學校), 성의학교(聖義學校), 상주 보광학교 강사1924 불교사 사장 취임1931 중앙불교전문학교((中央佛敎專門學校) 교수1935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 조선총독부)에 참여1939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 참사1941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保國團) 발기인 참여조선불교 조계종 총본사 태고사 종무원 교학편수 상임위1946 동국대학교 교수1949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체포, 기소유예처분1952 동국대학교 학장1953 동국대학교 초대 총장1955 국사편찬위원회 위원1962 동국대학교 명예철학박사 학위, 대한민국 문화포장1965 사망(86), 이후 대종사(大宗師) 법계 품서(조계종)1993 친일파 99인(반민족문제연구소)2002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2009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등재(친인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조선불교약사 朝鮮佛敎略史》, 《조선불교사개설 朝鮮佛敎史槪說》, 《삼국유사역강 三國遺事譯講》, 《고려사불교초존 高麗史佛敎抄存》, 《이조실록불교초존 李朝實錄佛敎抄存》, 《한국불교사료 韓國佛敎史料》, 《한국사찰전서 韓國寺刹全書》, 《한국지명연혁고 韓國地名沿革考》 Referenc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권상로"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935)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권상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