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면 月面 | 송도암 宋道巖1871-1946, 전라도 태인군 군내면 상일리(현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만공(滿空), 수산송신통(宋神通, 부), 김씨(모) 진암(眞巖), 태허(泰虛), 경허(鏡虛), 방한암(方漢岩), 김일엽, 나혜석(羅蕙錫 1896-1948),제자 - 보월(寶月), 전강(田岡), 용음(龍吟), 고봉(古峰), 금봉, 금오(金烏), 춘성(春城), 서경(西耕), 혜암(惠庵), 벽초, 원담, 비구니 법희(法喜), 만성(萬性), 일엽1883 김제 금산사에서 불상을 보고 출가 결심, 공주 동학사에서 진암(眞巖) 아래서 행자1884 충남 서산 천장사(天藏寺)에서 태허(泰虛)를 은사로 출가, 경허(鏡虛)를 계사로 사미계 수계1895 아산군 봉곡사(鳳谷寺)에서 견성(24세), 마곡사로 옮겨 보경(普鏡)스님이 지은 토굴에서 주석1896 경허에게 무자 화두를 받음1898 경허를 모시고 서산 도비산 부석사, 부산 범어사 계명암 등에서 주석1901 통도사 백운암에서 2차 견성(31세), 서산 천장사로 돌아옴.1904 경허에게 전법게와 만공이란 법호 받음(33세), 예산군 덕숭산(德崇山)에 주석, 덕숭산 수덕사(修德寺), 정혜사(定慧寺), 견성암(見性庵) 등 중창1905 예산 수덕사 뒷편에 초암 금선대(金仙臺) 건축1913 사형 수월, 혜월과 함께 스승 경허를 다비하고 유품을 챙겨 돌아옴.1914 서산 부석면 간월도리 안면도 간월암(看月庵) 중창1920 /22 서울 선학원(禪學院) 설립운동에 참여, 선우공제회운동(禪友共濟會運動)에 참여1924 선학원에 논 6000평 헌납1927 현양매구(懸羊買拘)라는 글을 짓고, 임제 32대 손임을 선언1930 금강산 유점사, 마하연에서 조실1934 재단법인 조선불교선리참구원(朝鮮佛敎禪理參究院) 설립 때 이사, 논과 밭을 재차 기증, 선리참구원으로 개편, 이사장1935 선학원 개최 조선불교 수좌대회, 혜월, 한암과 함께 조선불교 선종 종정1935 마곡사 주지1936 설산(雪山) 최광익(崔光益)에게 경허의 초상제작, 직접 영찬(影贊)을 써서 금선대 진영각에 봉안.1937 마곡사(麻谷寺) 주지덕숭산 능인선원(能仁禪院)과 한국 최초의 비구니 선원 견성암(見性庵) 설립1941 선학원 개최 전국고승법회 참석덕숭산 상봉에 전월사(轉月舍) 암자 건립, 1942 스승의 유고들을 집성하여 경허집 발간, 서산 간월암 복원1946 10월 예산 진월사에서 입적(75세, 법랍 62세)1983 혜암, 벽초, 원명, 만공법어(滿空法語) 편찬《만공어록 滿空語錄》, 《만공법어 滿空法語》, 《현양매구 懸羊買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