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영(朴漢永)[1870~1948]은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 학승 시인근대불교계의 3대 강백속명 박한영, 정호(鼎鎬, 법명), 영호(映鎬, 법호), 석전(石顚, 詩號)이다. 밀양(密陽)박씨
서당에서 공부했으나 17세 때 어머니가 위봉사(威鳳寺)에서 들은 생사법문(生死法文)을 전해 듣고 발심(發心)하여 출가(出家)
19세 때 전주 위봉사 태조암(太祖庵) 금산(錦山) 에서 출가(19)강원도 고성 신계사에서 금산 스님을 은사로 득도, 楡神溪寺유점사에서 도첩 수여식1889 내전수학1895 순천 龜巖寺 설유스님 문하에서 전강, 石顚(추사가 이후 뛰어난 제자에게 호를 주라고 백파에게 전해져 내려오다가, 설유에게 전해져 내려옴)23세 때 금산 스님과 함께 금강산에 갔었는데, 그때 벽하(碧下) 조주승(趙周昇)에게서 서예(書藝)를 배웠고, 고환(古懽) 강위(姜瑋)의 시풍(詩風)을 공부했다. 순창 구암사(龜巖寺)에서 개강(開講)한 뒤 해인사(海印寺), 법주사(法主寺), 범어사(梵魚寺) 등에서 불법을 강론했다. 1908 한양상경 불교유신운동 참여 (39)1911 해인사 주지 이회광(李晦光)이 조선불교를 일본의 조동종(曹洞宗)과 통합하려 하자 임제종(臨濟宗)의 전통론을 내세워 이를 저지시켰다. 1913 『해동불교(海東佛敎)/해동불보 창간1914 고등불교강숙(高等佛敎講塾) 강사1916 불교중앙학림(佛敎中央學林) 강사1924 불일 창간 (with 백용성)1926 서울 안암동 개운사(開運寺)에 강원 개설1929 조선불교 교정(敎正)1931년부터 중앙불교전문학교(中央佛敎專門學校)[동국대학교 전신] 교장1939 최남선, 석전시초 시작1940 최남선, 석전시초 간행광복 이후 조선불교중앙총무원의 제1대 교정으로 선출1948년 4월 정읍 내장사 벽련암(碧蓮庵)에서 입적1987 《영호대종사어록(映湖大宗師語錄), 도선사에서 출간
출처 : 불교평론(http://www.budreview.com)
『석전문초(石顚文鈔)』, 시집 『석전시초(石顚詩鈔)』, 『석림수필(石林隨筆)』, 『석림초(石林抄)』 등이 있다.계학약전(戒學約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