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장소- 경남 밀양(출생), 직지사(출가, 주지), 묘향산 보현사, 옥천산 상동암(오도), 유점사, 일본(전쟁협상)
행적- 풍천임씨. 경상남도 밀양 출신
- 임응규(任應奎, 이름).
- 이환(離幻, 자), 사명당(四溟堂, 호), 송운(松雲, 호), 종봉(鍾峯, 별호), 유정(惟政, 법명),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시호)
- 임수성(任守成, 부, ?-1559)
- 직지사의 주지
- 1575년(선조 8) 선종이 선종수사찰(禪宗首寺刹)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천거, 고사
-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의 휴정(休靜)을 찾아감
- 1578 팔공산·금강산·청량산·태백산 등을 다니면서 선수행
- 1586 (선조 19) 옥천산 상동암(上東庵)沃川山) 상동암(上東菴)에서 오도(43)
- 1589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에 연류모함을 받았으나, 강릉의 유생들이 무죄를 항소. 석방
- 1592 임진왜란 때 유점사(楡岾寺)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 구출
- 조정의 근왕문(勤王文)과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병을 모아 순안으로 가서 휴정과 합류, 의승도대장(義僧都大將)이 되어 승병 2,000명을 이끌고 평양성과 중화(中和) 사이의 길을 차단하여 평양성 탈환의 전초 역할
- 1593 1. 평양성 탈환 참가. 3. 서울 근교의 삼각산 노원평(蘆原坪) 및 우관동 전투에서 전공,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 제수
- (선조)
- 그 뒤 전후 네 차례에 걸쳐 대표로 나아가 적진에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회담
- 1594 4.13∼16. 제1차 회담, 7월 12∼16일 제2차 회담, 12.23. 제3차 회담(1594년 )
- 1597 3.18. 제4차 회담, 강화5조약으로 제시된 ‘천자와 결혼할 것, 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전과 같이 교린 할 것, 왕자 1명을 일본에 영주하게 할 것, 조선의 대신·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리적인 담판으로 물리침
- 1594 의령 주둔, 군량미로 각 사찰의 전답에 봄보리 파종
- 1604 휴정의 부음을 받고 가던 중, 선조의 명으로 일본에 가서 성공적인 외교성과, 4. 포로 3000명과 귀국
- 1610 8.26 해인사에서 요양, 설법 후 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