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山泰洽(일본식 이름), 소하(素荷, 아호), 김대은(金大隱), 석대은釋大隱), 금화산인(金華山人), 조선 제일의 친일 포교사
관련인물
이영재, 불교시보후원회(金翠雲, 부회장 김동봉金東峰, 간사장 홍태욱洪泰旭, 간사 정태정鄭泰正, 박윤진朴允進 등, 고문 강성인姜性仁, 박한영朴漢永, 김포광金包光, 이종욱李鍾郁 등)불교시보사 간부(박한영朴漢永, 권상로權相老, 김포광金包光, 안진호安震湖, 주간主幹에 김태흡, 사원에 조동호趙東鎬, 이상렬李相烈, 박윤진朴允進 등)
행적
1899 서울 서대문구 영천동 / 강화도 출생, (1894.0404 / 1898.0415)1901 할머니와 떨어져 강원도 산골의 한 사찰에서 성장(3)1905 출가, 심원사, 은사 계암 (7)1918 법주사 대교과 졸업, 일본 유학(인도철학, 종교학)1920 대승사 강주(22)1922 조선 순회불교강연회 참석, 일본1926 니혼대학 종교과 졸업1928 니혼대학 고등사범부 국한과 졸업, 귀국 후, 조선불교중앙교무원 포교사 1호1929 경성방송국 라디오 방송, 1월, 10월, '소크라테스의 윤리철학과 불교의 실천도덕', '가정평화의 묘체'1930찬불가 창작1931 불교희곡 창작1932 불교연극연출1933 2. 봉은사 현저동 포교당 포교사 7.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1935 8. 5. 불교시보 발행, 친일활동 - 1944.4.15불교시보, 조선총독부 황민화 정책 일환으로 심전개발운동 적극 홍보 및 보도, 관련 강연 전국활동1937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기간, 일본의 침략전쟁 오호 기사, 사설을 불교시보에 기고 -1945광복 이후 대장경 번역 및 저술활동1946 봉은사 주지 홍태욱 암살 사주혐의 체포, 8년간 복역1989 4.13 사망(101)2008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불교부분 등재(민족문제연구소)2009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등재(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은대종사 문집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