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DB 庫佛祥
  • Home
  • 인도력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서산 부석사 신중탱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조선불교포교당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한양동문외삼굴산보문사극락보전중건상량문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400s 혜각신미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0-1841 대오낭은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해인사재적승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4-1980 성암관일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 1800s 남효승엽 南湖勝曄
DB 庫佛祥
  • Home
  • 인도력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서산 부석사 신중탱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조선불교포교당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한양동문외삼굴산보문사극락보전중건상량문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400s 혜각신미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0-1841 대오낭은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해인사재적승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4-1980 성암관일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 1800s 남효승엽 南湖勝曄
  • More
    • Home
    • 인도력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서산 부석사 신중탱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조선불교포교당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한양동문외삼굴산보문사극락보전중건상량문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400s 혜각신미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0-1841 대오낭은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해인사재적승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4-1980 성암관일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 1800s 남효승엽 南湖勝曄
⟨⟨ 다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현장삼장(玄奘三藏, 602-664)이 인도로 경전을 구하러 인도로 가는 17년간(629-645)의 여정을 기록한 문헌. 현장이 구술하고 제자 변기(辯機, 619-?)가 편찬하였다. 646년 7월 12권, 10만자로 구성 138개국의 군사, 문화, 외교, 무역, 정치, 경제, 지리, 사회, 전설, 관습 등이 정리되어 있다.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688년 혜립 慧立, 언종 彦悰의 저술, 현장의 전기
 ⟪대당삼장취경시화 大唐三藏取經詩話⟫ 
 ⟪서유기⟫의 원형으로 알려진 문학작품, 현장법사의 인도여행기가 처음으로 허구화 된 것으로 알려진 작품. 저자 불명.
원문 原文ABC 판본 및 DB 수정
大唐西域記序 竊以穹儀方載之廣, 薀識懷靈之異, ⟪談天⟫無以究其極, ⟪括地⟫詎足辯其原?是知方志所未傳, 聲敎所不曁者, 豈可勝道哉! 詳夫天竺之爲國也, 其來尚矣.聖賢以之疊軫, 仁義於焉成俗. 然事絕於曩代, 壤隔於中土, ⟪山經⟫莫之紀, ⟪王會⟫所不書.博望鑿空, 徒寘懷於印竹; 昆明道閉, 謬肆力於神池. 遂使瑞表恒星, 鬱玄妙於千載;夢彰佩日, 祕神光於萬里. 曁於蔡愔訪道, 摩騰入洛, 經藏石室, 未盡龍宮之奧, 像畫涼臺, 寧極鷲峯之羙. 自茲厥後, 時政多虞.閹豎乘㩲, 潰東京而鼎峙;母后成釁, 翦中朝而幅裂.憲章泯於函, 雒, 烽燧警於䦕塞, 四郊因而多壘, 況茲邦之絕遠哉! 然而釣奇之客, 希世間至.頗存記注, 寧盡物土之宜;徒採⟪神經⟫, 未極眞如之旨. 有隋一統, 寔務恢疆, 尚且睠西海而咨嗟, 望東雒而杼軸. 揚旌玉門之表, 信亦多人; 利涉蔥嶺之源, 蓋無足紀.曷能指雪山而長騖, 望龍池而一息者哉!良由德不被物, 威不及遠.
생각하건대 천지의 광대함과 인류 종족의 상이함에 관해서는 ⟪담천⟫에서도 그 끝을 다 궁구하지 못하였고, ⟪괄지⟫에서도 그 근원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방지가 미처 전하지 못하고, 중국의 정치가 아직 미치지 않은 곳에 대해서는 어떻게 모두 말로 다 할 수 있겠는가? 살펴보면 인도[天竺]라는 나라는 그 내력이 오래 되었는데, 성현이 많이 배출되었고 인의가 풍속을 이루고 있었다. 그런데 사적이 오래 전에 끊긴 데다 중국에서도 아주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산경⟫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왕회⟫에도 적혀 있지 않다. 박망이 서역으로의 새로운 길을 내었던 것은 단지 공죽만을 뜻에 두었을 뿐이었고, 곤명의 길이 닫히고 어지럽혀지자 신지에서 힘을 다하여 훈련하였을 뿐이었다. 이리하여 마침내 부처님의 탄생을 알리는 징조가 항성으로 나타나니 천세[千載]에 현묘함이 가득 찼고, 꿈에 밝은 해를 지닌 이가 나타나니 신비한 빛이 만 리에 퍼졌다. 이에 채음이 도를 구하러 찾아가서 마등과 함께 낙양으로 들어와 경장을 석실에 두었지만 아직 용궁의 깊숙한 곳까지 퍼지지는 못하였고, 부처의 상을 양대에 그리게 하였지만 어찌 취봉의 아름다움을 다할 수 있었겠는가? 그 이후 시정에 우환이 많아지고 환관이 권력에 편승하자 동경이 혼란에 빠져 어지럽게 셋으로 나뉘어졌다. 또한 모후가 왕권을 찬탄하여 조정에 불화를 일으키니 나라의 질서[憲章]는 함락에서조차 무너졌다. 변방에서는 봉화가 끊임없이 피어오르고 그것으로 인하여 4방에 보루가 수없이 쌓여 길이 막히게 되었으니, 하물며 이 나라에서 멀리 떨어진 곳을 어찌 갈 수 있었겠는가? 그런데 천만다행하게도 귀한 이가 세간에 나타나서 다소 기록을 남기게 되었지만 그 땅의 특징을 정확하게 전하지 못하고 한갓 ⟪신경⟫만을 채록하였을 뿐이며, 진여의 도리를 궁구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수나라가 통일을 하게 되어 이에 국토를 확장하고자 힘썼지만 오히려 서해를 돌아보면서 탄식을 하였고 동락을 바라보며 아쉬워할 뿐이었다. 옥문 밖에서 깃발을 휘날린 자는 정말 많았지만 총령의 고원을 쉽게 건넌 이에 대해서는 아마도 기록할 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어찌 설산을 가리키면서 오랫동안 힘껏 달려가다가 용지를 바라보면서 잠시 쉴 수가 있었겠는가? 이것은 전 왕조인 수나라의 덕이 세상에 드리워지지 않았고 위력이 멀리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我大唐之有天下也, 闢寰宇而創帝圖, 掃攙搶而淸天步. 功侔造化, 明等照臨, 人荷再生, 肉骨豺狼之吻;家蒙錫壽, 還魂鬼蜮之墟. 摠異類於藁街, 掩遐荒於輿地. 菀十洲而池環海, 小五帝而鄙上皇. 法師幼漸法門, 慨祇園之莫履;長懷眞迹, 仰鹿野而翹心. 褰裳淨境, 實惟素蓄. 會淳風之西偃, 屬候律之東歸, 以貞觀三年, 杖錫遵路. 資皇靈而抵殊俗, 冒重險其若夷;假冥助而踐畏塗, 幾必危而已濟. 暄寒驟徙, 展轉方達. 言尋眞相, 見不見於空有之間;博考精微, 聞不聞於生滅之際. 廓群疑於性海, 啓妙覺於迷津. 於是隱括衆經, 無片言而不盡;傍稽聖迹, 無一物而不窺. 周流多載, 方始旋返. 十九年正月, 屆于長安. 所獲經論六百五十七部, 有詔譯焉. 親踐者一百一十國, 傳聞者二十八國. 或事見於前典, 或名始於今代. 莫不餐和飮澤, 頓顙而知歸;請吏革音, 梯山而奉賮. 歡闕庭而相抃, 襲冠帶而成群. 爾其物產風土之差, 習俗山川之異. 遠則
그런데 우리 대당이 천하를 다스리게 되어 황제의 나라를 열고 제왕의 다스림[帝圖]을 펼치기 시작하면서 하늘에는 불길한 혜성[攙搶]들이 사라지고 국가의 운명[天步]이 밝아지게 되었으니, 그 공적은 천지의 조화에 필적할 만한 것이었으며, 그 광명은 해와 달이 비치는 것과 같은 것이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 육골이 맹수들의 먹이가 될 뻔하다가 다시 살아났고, 집안은 귀신들의 폐허로부터 다시 살아나 천수를 누리게 되었다. 외국인[異類]들은 고가에 넘쳐나고 변방의 오랑캐 땅까지도 지배하게 되었으니 10주가 정원이고 환해가 연못이 되었다. 이것은 5제까지도 작게 여기며 상황도 낮게 내려다 볼 정도의 일이었다. 한편, 현장 법사는 어린 시절에 법문에 들고서부터 기원정사의 땅을 밟아보지 못한 것을 개탄하고 부처님의 진실한 가르침을 오래도록 가슴속에 품고서 녹야원을 향해 간절하게 마음으로 우러렀다. 불국토[淨境]로의 여행은 실로 오래도록 품었던 소망이었다. 마침내 당나라의 순박한 풍속이 서쪽을 교화하고 그들의 율법이 동쪽으로 귀의하게 되는 때를 맞아 정관 3년에 석장을 짚고 길을 떠났다. 황제의 신령[皇靈]에 의지하고서 타국에 나아갔으니 온갖 험난한 길들도 마치 평지를 가는 것과 같았다. 선대 왕들의 혼령[冥助]의 힘을 빌려서 위험한 길을 건넜으니 어려움에 처해도 무사하게 지나갈 수 있었다. 추위와 더위를 견디어 내며 조금씩 나아가 마침내 인도에 도달하게 되었다. 진상을 거듭 물으면서 보기 어려운 실상을 공과 유의 사이에서 보게 되었고, 정묘한 이치를 곰곰이 생각해서 듣기 어려운 정법을 생멸의 경계에서 들었다. 그리하여 성품의 바다[性海]에서 모든 의심을 깨쳤으며 미혹의 나루터[迷津]에서 미묘한 깨달음을 얻었다. 이에 여러 경들을 바로잡아서 단 한마디의 말이라도 완전하게 따져 묻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곁들여 성스러운 불적을 답사하여 하나의 물건이라도 살피지 않은 것이 없었다. 오랜 세월 동안 세상을 돌아다니다가 마침내 귀로에 올라 19년 정월에 장안에 도착하게 되었다. 법사께서 가지고 온 경론은 657부이며 황제의 명을 받아서 번역하기에 이르렀다. 친히 다녀온 곳이 110국, 전해들은 것이 28국인데 이 중에 어떤 일은 앞 세대의 전적에서도 보이는 것이며, 어떤 나라 이름은 지금 시대에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모두 당나라의 은택을 입게 되어 감동하지 않은 곳이 없었으며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려 절하면서 귀복하게 되었다. 관리들에게 통역을 부탁하고 험준한 산길을 넘어서 예물을 가져와 바쳤으며, 조정에 참여하는 것을 영예로 생각하여 관대를 입고 무리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그 나라에서 나는 특산품이나 풍토ㆍ습속이나 산천의 차이를 멀리는
稽之於國典, 近則詳之於故老, 邈矣殊方, 依然在目. 無勞握槧, 已詳油素. 名爲⟪大唐西域記⟫, 一秩, 十二卷. 竊惟書事記言, 固已緝於微婉;瑣詞小道, 冀有補於遺闕.祕書著作佐郞敬播序之云爾.
大唐西域記卷第一 三十四國 三藏法師玄奘奉 詔譯 大摠持寺沙門 辯機撰阿耆尼國屈支國跋祿迦國笯奴故反赤建國赭時國㤄敷發反捍國窣蘇沒反堵利瑟那國颯秣建國弭秣賀國劫布呾那國屈霜去聲你伽國喝捍國捕喝國伐地國貨利習彌伽國羯霜去聲那國呾蜜國赤鄂衍那國忽露摩國愉色俱反漫國鞠和衍那國鑊沙國珂咄羅國拘謎莫閉反陁國縛伽浪國紇露悉泯健國忽懍國縛喝國銳秣陁國胡寔健國呾剌健國揭職國梵衍那國迦畢試國歷選皇猷, 遐觀帝錄, 庖犧出震之初, 軒轅垂衣之始, 所以司牧黎元, 所以
국전에 비추어 보고 가깝게는 사리에 밝은 어진 노인[故老]들에게 물어보면서 현장법사는 아득히 멀고 제각기 다른 것을 마치 현재 눈앞에 보는 것처럼 기술하여 수고스럽지 않도록 서책으로 엮어 상세하게 글로 옮겨 썼으니, 이것이 바로 1질 12권으로 이루어진 ⟪대당서역기⟫라는 이름의 책인 것이다. 생각해 보면 내가 쓴 서는 일의 대강만을 다루는 데 지나지 않았으며 아주 일부분만을 기록했을 뿐이다. 변변치 않은 말솜씨와 천박한 도를 지닌 나의 잘못이 있다면 보충해주길 바랄 뿐이다. 비서저작좌랑 경파가 이 서문을 쓴다.
대당서역기 제1권 현장 한역 변기 찬록이미령 번역
출발지에서부터 인도 국경 사이의 나라들[34개국] 널리 황유를 가려내고 멀리 황제들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처음 포희가 동방에 즉위하고 헌원이 중국을 다스린 것은 천하의 모든 백성을 기르고
疆畫分野. 曁乎唐堯之受天運, 光格四表, 虞舜之納地圖, 德流九土. 自茲已降, 空傳書事之冊, 逖聽前修, 徒聞記言之史, 豈若時逢有道, 運屬無爲者歟. 我大唐御極則天, 乘時握紀, 一六合而光宅, 四三皇而照臨. 玄化滂流, 祥風遐扇, 同乾坤之覆載, 齊風雨之鼓潤. 與夫東夷入貢, 西戎卽敍, 創業垂統, 撥亂反正, 固以跨越前王, 囊括先代. 同文共軌, 至治神功, 非載記無以贊大猷, 非昭宣何以光盛業? 玄奘輒隨遊至, 擧其風土, 雖未考方辯俗, 信已越五踰三, 含生之疇, 咸被凱澤;能言之類, 莫不稱功. 越自天府, 曁諸天竺, 幽荒異俗, 絕域殊邦, 咸承正朔, 俱霑聲敎. 贊武功之績, 諷成口實;美文德之盛, 鬱爲稱首. 詳觀載籍, 所未嘗聞;緬惟圖牒, 誠無與二. 不有所敍, 何記化洽? 今據聞見, 於是載述. 然則索訶世界舊曰娑婆世界, 又曰娑訶世界, 皆訛也三千大千國土, 爲一佛之化攝也. 今一日月所照臨四天下者, 據三千大千世界之中, 諸佛世尊皆此垂化, 現生現滅, 導聖導凡. 
영토를 나누기 위함이었다. 당요가 하늘의 명을 받아서 황제의 자리에 오르니 그 빛이 4방에 이르렀고, 우순이 지도를 받아서 천하를 다스리자 그 덕은 9주[九土]에 흘렀다. 이후부터는 서사의 서책만이 헛되이 전해져서 옛 현자들의 이야기는 아득하게 들리고, 다만 말을 기록한 역사만을 접해볼 뿐이었다. 어찌 이러한 시대가 도가 있던 시기와 합치된다고 할 수 있으며, 시운을 무위의 시대와 비교할 수 있겠는가? 우리 대당의 천자께서는 황제의 자리에 올라서 시운을 타고 천하의 기강을 장악하시니, 사방천지가 하나가 되어 밝게 다스려졌다. 상고시대의 3황과 견줄 정도로 그 덕화가 4방에 두루 퍼졌다. 그리하여 현묘한 덕화가 흘러내리고 상서로운 바람이 아득하게 부니, 하늘[乾]과 땅[坤]이 만물을 덮거나 싣는 것과 같았으며 비바람이 만물을 고르게 적시는 것과 같았다. 동이도 조공을 바치러 들어오고 서융도 그 질서 속으로 편입되었다. 나라의 기틀을 세워 자손에게 전하였고 반란을 다스려서 바르게 한 것은 진실로 전대의 왕들을 아득하게 뛰어넘고 선대를 모두 포함할 정도였다. 같은 문자와 동일한 규범으로 다스려지게 하신 신업과 같은 이 공적에 대해서는 글을 쓰지 않으면 그 커다란 계략을 찬미할 수 없으며, 하나하나 분명히 말하는 것 이외에는 어찌 그 대업을 칭송할 수 있겠는가? 현장은 오로지 서역을 유람하는 대로 그 풍토를 기록하였다. 비록 여러 나라의 풍속을 충분하게 나누어 밝히지는 못하였지만, 실로 그 땅에는 삼황오제의 시대 이상으로 천자의 은혜가 미치고 있었으며, 살아있는 것 모두가 은택을 입고 있었으니, 말을 할 수 있다면 누구라도 천자의 공적을 칭송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당나라 조정으로부터 오천축국, 변경의 이민족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정삭을 받아서 한결같이 천자의 덕화를 입어 무력의 공적을 찬양하며, 문덕의 성대함을 찬미하여 으뜸가는 화제로 삼고 있다. 이것은 전적을 자세하게 조사해보아도 예전에는 들어본 적이 없었던 것이며, 상고의 지리ㆍ역사를 비추어 보아도 어떤 것도 이것과 짝할 것이 없다. 여기에 서술하지 않으면 당조의 교화가 얼마나 성대한가를 전할 수 없을 것이니, 이제 보고들은 사실에 의거하여 여기에 실어 적어놓는 것이다. 한편, 삭하세계구역에서는 사바세계라고 하며, 또는 사하세계라고 하는데 모두 잘못된 것이다 삼천대천국토는 한 분의 부처님께서 교화하고 통솔하는 영역이다. 지금 하나의 해와 달이 널리 비추고 있는 4천하는 삼천대천세계 속에 자리하고 있는데, 불세존은 이 모든 땅에 교화를 드리우시어 태어남과 죽음을 나타내시고 성현과 범부를 인도하신다. 
蘇迷盧山 唐言妙高山. 舊曰須彌, 又曰須彌婁皆訛略也, 四寶合成, 在大海中, 據金輪上, 日月之所照迴, 諸天之所遊舍. 七山七海, 環峙環列;山閒海水, 具八功德. 七金山外, 乃鹹海也. 海中可居者, 大略有四洲焉. 東毘提訶洲 舊曰弗婆提, 又曰弗于逮, 訛也南贍部洲 舊曰閻浮提, 洲又曰剡浮洲, 訛也, 西瞿陁尼洲 舊曰瞿耶尼, 又曰的伽尼, 訛也, 北拘盧洲 舊曰鬱單越, 又曰鳩樓. 訛也. 金輪王乃化被四天下, 銀輪王則政隔北拘盧, 銅輪王除北拘盧及西瞿陁尼, 鐵輪王則唯贍部洲. 夫輪王者, 將卽大位, 隨福所感, 有大輪寶, 浮空來應, 感有金, 銀, 銅, 鐵之異, 境乃四, 三, 二, 一之差, 因其先瑞, 卽以爲號. 則贍部洲之中地者, 阿那婆答多池也唐言無熱惱舊. 曰阿耨達池, 訛也. 在香山之南, 大雪山之北, 周八百里矣. 金, 銀, 琉璃, 頗胝, 飾其岸焉. 金沙彌漫, 淸波皎鏡. 八地菩薩以願力故, 化爲龍王, 於中潛宅. 出淸冷水, 給贍部洲. 是以池東面銀牛口流出
殑(巨勝反)伽河舊曰恒河, 又曰恒伽, 訛也 繞池一帀, 入東南海;池南面金象口流出
信度河舊曰辛頭河, 訛也 繞池一帀,
소미로산 蘇迷盧山당나라 말로는 묘고산이라고 하며 구역에서는 수미라고 한다. 또한 수미루라고도 하는데 모두 잘못된 것이다.
네 가지 보배가 합하여 이루어졌고 대해 가운데에 있으며, 금륜 위에 자리 잡고 있다. 그곳은 해와 달이 비추고 모든 천신[天]이 노닐며 머무는 곳이다. 일곱 개의 산과 일곱 개의 바다가 빙 둘러서 줄지어 있으며 산 사이의 바닷물은 여덟 가지의 공덕을 갖추고 있다. 일곱 개의 금산 밖에는 염해가 있다. 바다 가운데 중생이 거주할 수 있는 곳으로 대략 네 개의 섬이 있다.
동비제하주 東毘提訶洲구역에서는 불바제라고 하고, 또 불우체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남섬부주 南贍部洲구역에서는 염부제주라고 하고, 또는 염부주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서구타니주 西瞿陁尼洲구역에서는 구야니라고 하고 또한 구가니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북구로주 北拘盧洲구역에서는 울단월이라 하고 또한 구루라고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금륜왕은 4천하를 통치하며, 은륜왕은 북구로주를 다스리고, 동륜왕은 북구로주와 서구타니를 제외한 곳을 다스리며, 철륜왕은 오직 섬부주만을 다스린다. 윤왕이 대위에 오르려 할 때면 복에 감응하는 바를 따라서 커다란 윤보가 허공에 떠서 따라온다. 그 윤보에는 금ㆍ은ㆍ동ㆍ철의 차이가 있으며 통치하는 경계에도 4ㆍ3ㆍ2ㆍ1의 구별이 있다. 전륜왕이 즉위할 때 서응으로써 생겨나는 윤보의 종류에 따라 왕의 칭호가 결정된다. 
섬부주 가운데 있는 연못아나파답다지 阿那婆答多池당나라 말로는 무열뇌라고 하며 구역에서는 아뇩달지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라고 한다.
향산의 남쪽과 대설산의 북쪽에 있으며 둘레는 8백 리이다. 금과 은과 유리와 파지가 그 언덕을 장식하며, 금모래가 가득 찼고 맑은 물결은 거울과 같다. 8지보살이 원력에 의해 용왕으로 변하여 그 연못 속에서 숨어 지내면서 그 속에서 청량한 물을 내뿜어 섬부주에 공급한다. 그리고 연못의 동쪽에 있는 은우(銀牛)의 입에서는 
긍가하 殑伽河구역에서는 항하 또는 항가라고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가 흘러나와 연못을 한 바퀴 휘감아 돈 뒤에 동남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연못 남쪽에 있는 금상의 입에서는 
신도하 信度河구역에서는 신두하라고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가 흘러나와서 연못을 한 바퀴 휘감아 돈 뒤에
DB. 미니멀한 불교사전, 庫佛祥 copyright ©D.Kang 2020-2025 | email pada.dic@gmail.com kakao open chat (https://open.kakao.com/o/gj0Ry0Pd) pass.5555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