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ṣaṇa
kṣaṇa
Kang, Hyong Chol (2015) A Study on Several Probolems in Analysis of Vasubandhu's Proof of Momentariness: with a focus on connection with Yuktidīpikā 122-124
설일체유부는 한 찰나 동안에 발생(jāti, 生), 지속(sthiti, 住), 쇠퇴(jarā, 異), 소멸(anityatā)의 네 가지 유위 상(samkskṛta-lakṣaṇa)이 반복되며 그것을 찰나생멸을 일으키는 원동력으로 파악하는데, 그 중에서 소멸의 유위상(anityatālakṣaṇa, 滅相)을 소멸의 내부적 원인(主因)으로 규정했다. 즉, 설일체유부는 물병에 있어서의 망치, 장작에 있어서의 화염 등의 소멸의 외부적 원인(客因)을 부정하는 것은 동의하지만, 그것의 내부적 작용인은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kṣaṇasya punaḥ kim pramāṇam/ samagreṣu pratyayeṣu yāvatā dharmasyātmalābhaḥ.
AKBh 176,12
“또한 찰나는 어느 정도의 분량인가? 조건들이 모두 갖추어질 때 존재(dharma)가 자기존재(ātman)를 획득하는 동안의 시간이다.
Kang, Hyong-chol, 2016, New Perspectives on the Sautrātika-Vasubandhu Doctrine of Momentsriness - Focusing on the Views of the Mādhyamikas.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