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후
고대불교사 51
元曉佛敎의 再吟味(서론)
원효불교의 재음미⟪불교(신)⟫ 29, 12~13, 불교사
⟪불교(신)⟫ 30, 12~13
⟪불교(신)⟫ 31, 22~24
⟪불교(신)⟫ 32, 16~19
⟪불교(신)⟫ 34, 6~9
⟪불교(신)⟫ 35, 8~11
소화16년(1941)
소화16년9월
소화16년
소화16년
1942.3
1942.4
朝鮮佛敎와 日本文化의 關係
조선불교와 일본문화의 관계⟪불교⟫ 30, 2~6, 불교사
1930
海東初祖에 對하야
해동초초에 대하야⟪불교⟫ 70, 7~11, 불교사
1930.4
⟪불교⟫ 35, 14~19, 불교사
소화2년
⟪불교⟫ 55, 2~11, 불교사
소화4년(1929)
⟪불교(신)⟫ 48, 33~36, 불교사
⟪불교(신)⟫ 50, 24~28
⟪불교(신)⟫ 51, 15~20
⟪불교(신)⟫ 52, 11~16
소화18년
⟪불교(신)⟫ 53, 14~22, 불교사
소화18년
⟪조선불교총보⟫ 1, 13~16,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6년
⟪조선불교총보⟫ 3, 7~10,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6년
⟪불교⟫ 54, 33~39, 불교사
소화3년
⟪신불교⟫ 31, 26~42, 불교사
1941. 12
古代朝鮮佛敎
고대조선불교⟪조선불교총보⟫ 21, 16~22,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9년
新羅佛敎의 大觀
신라불교의 대관⟪불교⟫ 73, 10~14, 불교사
⟪불교⟫ 75, 27~31
⟪불교⟫ 76, 12~16
⟪불교⟫ 77, 23~29
⟪불교⟫ 78, 32~39
⟪불교⟫ 80, 33~37
⟪불교⟫ 81, 36~39
⟪불교⟫ 82, 24~27
소화5
소화5
소화5
소화5
소화5
소화6(80)
소화6(81)
소화?
新羅佛敎界의 法會儀式
신라불교계의 법회의식⟪조선불교총보⟫ 19, 47~54,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8년
海東大旅行家慧超三藏
해동대여행가혜초삼장⟪조선불교총보⟫ 18, 22~34,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8년
諸書에 現한 元曉華嚴疏敎義
제서에 현한 원효화엄소교의대정7년
和幢
元曉의 女性觀
원효의 여성관⟪불교(신)⟫ 28, 14~33, 불교사
1940
未詳
祭元曉聖師文
제원효성사문⟪불교⟫ 60, 35~36, 불교사
소화4년(1929)
瓊林居士
元曉大聖(上·中·下)
원효대성小田省吾
檀君傳說에 대하여(일문, 1~4)
단군전설에 대하여大谷政平
王和尙의 神兵과 土甁
왕화상의 신병과 토병⟪불교(신)⟫ 41, 27~30, 불교사
소화17년
雲山頭陀 운산두타
法空和尙傳
법공화상전명치45년7월
雲陽沙門 운양사문
교사(3장조선사)
敎史(5장삼국사)
제5장 三國史
제5장 삼국사
제5장 삼국사
제5장 삼국사
제6장 신라사
제6장 新羅史
제7장 高麗史
제7장 高麗史
⟪조선불교월보⟫ 3, 28~31, 조선불교월보사
⟪조선불교월보⟫ 5, 35~38
⟪조선불교월보⟫ 6, 30~33
⟪조선불교월보⟫ 7, 17~24
⟪조선불교월보⟫ 8, 33~39
⟪조선불교월보⟫ 9, 22~33
⟪조선불교월보⟫ 10, 22~28
⟪조선불교월보⟫ 11, 19~24
⟪조선불교월보⟫ 12, 39~41
⟪조선불교월보⟫ 13, 50~50
명치45년7월
명치45년7월
명치45년7월
대정원년8월
대정원년9월
대정원년10월
대정원년11월
대정원년12월
대정2년1월
대정2년2월
雲山頭陀 운산두타
義淵禪師傳
의연선사전⟪조선불교월보⟫ 3, 32~33, 조선불교월보사
명치45년7월
雲山頭陀 운산두타
阿道和尙傳
아도화상전⟪조선불교월보⟫ 2, 32~34, 조선불교월보사
명치45년3월
雲山頭陀 운산두타
順道和尙傳
순도화상전⟪조선불교월보⟫ 1, 36~37, 조선불교월보사
명치45년3월
雲山頭陀 운산두타
圓光法師傳
원광법사전⟪조선불교월보⟫ 8, 39~44, 조선불교월보사
대정원년9월
徐海曇 서해담
原法興始
원법흥시⟪조선불교월보⟫ 3, 14~16, 조선불교월보사
⟪조선불교월보⟫ 3, 16~20
명치45년4월
尙玄 상현
佛家十三宗의 來歷
불가십삼종의 내력⟪불교진흥회월보⟫ 1권 2호, 34~42,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4월
尙玄 상현
慶州石窟佛像
경주석굴불상⟪불교진흥회월보⟫ 1권 3호, 30~34,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4월
稻田春水
智異山大華嚴寺新羅時代華嚴石壁經考
지리산대화엄사신라시대화엄석벽경고⟪불교진흥회월보⟫ 1권 4호, 29~32,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6월
尙玄居士 상현거사
海東佛界에 梵唄源流
해동불교에 범패원류⟪불교진흥회월보⟫ 1권 5호, 44~45,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5월
尙玄居士 상현거사
臨濟家風과 新羅智異山和尙
임제가풍과 신라지리산화상⟪조선불교계⟫ 1, 29~40
대정5년 4월
尙玄居士 상현거사
佛祖遺骨東來史
불조유골동래사⟪조선불교계⟫ 1, 39~40
⟪조선불교계⟫ 2, 43~50
⟪조선불교계⟫ 3, 41~44
대정5년 4월
대정5년 6월
대정5년 6월
金映遂 김영수
通度寺之戒壇에 就하야
통도사지계단에 취하야⟪一光⟫ 4, 27~35, 중앙불교전우회
소화8년 12월
河村道器
眞表律師와 長安寺의 開創
진표율사와 장안사의 개창⟪一光⟫ 3, 41~43, 중앙불교전우회
소화6년 3월
金映遂 김영수
通度寺의 舍利와 袈裟
통도사의 사리와 가사⟪一光⟫ 7, 23~30, 중앙불교전우회
소화11년10월
權退耕 권퇴경
祗林寺의 光有聖人
기림사의 광유성인⟪一光⟫ 8, 43~51, 중앙불교전우회
소화12년11월
權相老 권상로
阿度에 대한 小考
아도에 대한 소고⟪一光⟫ 9, 7~11, 중앙불교전우회
소화14년3월
趙明基 조명기
義湘의 傳記와 著書
의상의 전기와 저서⟪一光⟫ 9, 18~33, 중앙불교전우회
소화14년3월
趙明基
太賢法師의 著書와 思想
태현법사의 저서와 사상⟪一光⟫ 10, 31~39, 중앙불교전우회
소화15년1월
許永鎬
高句麗의 原音推定에 대해서
고구려의 원음아정에 대해서⟪金剛杵⟫ 20, 7~21, 조선불교동경학우회
1932년12월
趙明基
元曉宗師의 十門和諍論硏究
원효종사의 십문화쟁론연구⟪金剛杵⟫ 22, 18~36, 조선불교동경학우회
1937년1월
鄭斗石 정두석
日本佛敎傳來와 百濟佛敎와의 關係
일본불교전래와 백제불교와의 관계⟪金剛杵⟫ 25, 32~41, 조선불교동경학우회
1941년12월
豊山映眞
新羅時代の禪宗小考
신라시대의 선종소고⟪金剛杵⟫ 26, 16~20, 조선불교동경학우회
1943년1월
蒺藜園人
法起菩薩과 普德閣氏 兩緣起를 읽고서
법기보살과 보덕각시 양연기를 읽고서⟪金剛山⟫ 2, 1~3, 금강산사
소화10년10월
張道煥 장도환
佛敎傳播의 平面相
불교전번의 평면상⟪新生⟫ 3, 36~40, 신생사
1946년7월
許永鎬
「樂浪」語義考
낙랑어의고⟪新生⟫ 창간호, 32~37, 신생사
⟪新生⟫ 2, 15~32, 신생사
1946년3월
1946년4월
李外潤 이외윤
三國時代佛敎의 信仰特色小考
삼국시대불교의 신앙특색소고⟪鹿苑⟫ 1, 26~35, 조선불교학생동맹
1947년9월
金鍾安 김종안
寺院經濟의 史的考察(貴族佛敎時代를 中心으로)
사원경제의 사적고찰 - 귀족불교시대를 중심으로⟪鹿苑⟫ 2, 33~37, 조선불교학생회문화부
1947년9월
李夏雨 이하우
新羅文化의 小考察
신라문화의 소고찰⟪鹿苑⟫ 2, 44~50, 조선불교학생회문화부
1947년9월
문화재 및 미술·설화·자료 15
關野貞 관야정
朝鮮最古의 木造建築(1~3) 浮石寺無量壽殿과 祖師堂
조선최고의 목조건축 부석사무량수전과 조사당소화3년 9월
소화3년 10월
소화3년 11월
牛場眞玄 우장진현
新羅時代의 不可殺爾(상·하)
신라시대의 불가사이대정14 (1925)
未詳
新羅의 傳說
신라의 전설소화5년8월
元曉 撰 원효
佛說阿彌陀經序(8종의 서문)
불설아미타경서⟪조선불교총보⟫ 20, 35~42,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9년
猊雲 撰 예운
眞表律師傳簡
진표율사전간⟪조선불교총보⟫ 10, 59~63
대정7년
元曉 遺著 원효
法華經宗要序
법화경종요서⟪조선불교총보⟫ 6, 53~54
대정6년
崔彦撝 최언위
眞澈國師塔碑銘
진철국사탑비명⟪조선불교총보⟫ 3, 21~25
대정6년
鄭晄震 정광진
佛敎史學硏究 海東瑜伽正宗初祖憬興國師
불교사학연구 해동유가정종초조경흥국사⟪조선불교총보⟫ 14, 26~32
대정8년 (1919)
寄紫閣無名新羅頭陀僧
기자각무명신라두타승⟪조선불교월보⟫ 16, 44~46, 조선불교월보사
中國의 新羅僧 詩
중국의 신라승 시⟪조선불교월보⟫ 17, 40~42, 조선불교월보사
記者 選
大朗慧和尙白月葆光之塔碑銘幷序
대낭혜화상백월보광지탑비명병서⟪해동불보⟫ 4, 41~56 누락, 해동불보사
⟪해동불보⟫ 6, 25~35
⟪해동불보⟫ 7, 35~45
⟪해동불보⟫ 8, 23~28
대정3년2월
대정3년4월
대정3년5월
대정3년6월
稻田春水
江原道江陵地藏禪院朗圓大師悟眞塔碑銘
강원도강릉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명⟪조선진흥회월보⟫ 1권 9호, 32~35,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8월
寶林寺普照禪師靈塔碑銘幷序
보림사보조선사영탑비명병서⟪조선불교⟫ 1, 40~43, 조선불교사
대정5년4월
眞鏡大師塔碑銘幷序
진경대사탑비명병서⟪불교진흥회월보⟫ 1권 9호, 44~45,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11월
金包光 김포광
金山寺의 石鐘
금산사의 석종⟪녹원⟫ 2, 41~43, 녹원사
1957년7월
고려불교 35
渡邊彰
恩津의 彌勒에 관한 硏究
은진의 미륵에 관한 연구조선불교총보 17, 37~41
조선불교총보 18, 59~62
대정8년
김태흡
東洋佛敎의 槪說(고려시대의 불교)
동양불교의 개설불교38, 고려6~8, 불교사
소화2년 (1927)
張道煥 장도환
麗末의 佛敎와 政治와의 關係
여말의 불교와 정치와의 관계불교(신)1, 17~23, 불교사
1937
河世明 하세명
海印寺의 大藏經板
해인사의 대장경판⟪조선불교⟫70, 14~17, 조선불교사
소화5년
小野玄妙
高麗時代の文化と其の古刻書に就て
고려시대의 문화와 그 고각서에 취해⟪조선불교⟫17, 7~12, 조선불교사
⟪조선불교⟫18, 9~12
⟪조선불교⟫19, 9~12
⟪조선불교⟫20, 8~12
대정14년 9월
대정14년 11월
1925
김태흡
太古國師의 聖德과 그의 禪學
태고국사의 성덕과 그의 선학불교56, 14~25, 불교사
소화14년(1929)
無涯居士 무애거사
(講說)『高麗國普照禪師修心訣附說』(第1回)
고려국보조선사수심결부설⟪조선불교⟫96, 15~21
소화9년 1월
尙玄 상현
蒙古 喇嘛僧과 宗派의 來亦
몽고 라마승과 종파의 래적조선불교총보9, 3~5
대정7년
張道煥 장도환
麗末과 李初의 儒佛의 關係 : 法制考에 의한 政治的 側面
려말과 이초의 유불의 관계불교(신)47, 14~21, 불교사
불교(신)48,11~18
불교(신)52, 8~10
불교(신)53, 8~13
불교(신)54, 4~9
불교(신)56, 32~36
불교(신)58. 17~20
소화18년4월
소화18년 5월
소화18년9월
소화18년10월
소화18년11월
소화19년1월
소화19년3월
江田俊雄
高麗版白雲和尙語錄と其の著者
고려판 백운화상어록과 그 저자⟪조선불교⟫93, 15~19
⟪조선불교⟫94, 10~15
소화8년10월
소화8년11월
김태흡
大藏經에 就하야
대장경에 취하여⟪불교⟫39, 11~16
소화2년(1927)
金芿石 김잉석
佛日普照師
불일보조사⟪불교⟫(신)31, 43~47
⟪불교⟫(신)33, 10~16
⟪불교⟫(신)35, 19~25
⟪불교⟫(신)50, 2~13
1941
1942
1942
1943
林錫珍 임석진
普照國師硏究 1
普照國師硏究 2
보조국사연구⟪불교⟫101~102합집, 15~23
⟪불교⟫103호, 41~48
1932
1933
徐京保 서경보
懶翁王師의 眞蹟, 上
懶翁王師의 眞蹟, 2
나옹왕사의 진적⟪불교⟫(신)44, 47~55
⟪불교⟫(신)45, 24~32
1943
大谷生 대곡생
古異祖跡 (三) : 三和尙과 僧魚
고이조적:삼화상과 승어⟪불교⟫(신)44, 56~58
1943
包光映遂 포광영수
太古和尙의 宗風에 對하야, 1
태고화상의 종풍에 대하여⟪불교⟫(신)39, 4~11
⟪불교⟫(신)40, 4~9
1942
姜裕文 강유문
辛旽考
신돈고⟪불교⟫(신)13, 11~16
⟪불교⟫(신)14, 13~20
⟪불교⟫(신)15, 9~15
⟪불교⟫(신)16, 4~11
⟪불교⟫(신)17, 13~17
1938
鄭晄震 정광진
高麗의 大覺國師
고려의 대각국사⟪조선불교총보⟫8, 7~26,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7년
梁建植 양건식
高麗 大覺國師에 關한 硏究, 1
고려 대각국사에 관한 연구⟪불교⟫52, 44~53, 불교사
⟪불교⟫53, 23~32
⟪불교⟫54, 17~22
⟪불교⟫55, 39~47
⟪불교⟫56, 26~27
松谷軒, 法淨
普照國師의 所錄인 '華嚴論節要'의 新發見
보조국사의 소연인 화엄론절요의 신발견⟪불교⟫(신)36, 26~32
1942
岡敎邃
朝鮮華藏寺의 梵협과 印度指空三藏
조선화장사의 범협과 인도지공삼장⟪불교⟫38, 2~5
⟪불교⟫39, 6~10
⟪불교⟫40, 13~16
1927
李丙燾
高麗太祖と開泰寺
고려태조와 개태사⟪조선불교⟫ 97, 14~18, 조선불교사
소화9년
雲陽沙門
제7장 高麗史
고려사⟪조선불교월보⟫12, 39~41, 조선불교월보사
⟪조선불교월보⟫14, 37~40
⟪조선불교월보⟫15, 38~41
⟪조선불교월보⟫16, 29~33
⟪조선불교월보⟫17, 28~31
⟪조선불교월보⟫19
대정2년1월
대정2년3월
대정2년4월
尙玄 상현
海印寺大藏經板來歷
해인사대장경판내력⟪불교진흥회월보⟫1권 2호, 43~48,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4월
尙玄居士 상현거사
海東佛界에 梵唄源流
해동불계에 범패원류⟪불교진흥회월보⟫1권5호, 44~45
대정4년5월
稻田春水
淸平山文殊院記碑에 就하야
청평산문수원기비에 취하여⟪조선불교월보⟫15, 43~44, 조선불교월보사
無無居士 무무거사
懶翁의 一劒
나옹의 일검⟪조선불교계⟫3, 32~37
대정5년6월
비친못
高麗舊都松岳의 古蹟을 찾어서
고려구도송악의 고적을 찾아서⟪一光⟫4, 51~55·62, 중앙불전교우회
소화8년12월
姜裕文 강유문
⟪大爲國⟫妙淸論
대위국 묘청론⟪금강저⟫20, 23~29, 동경동맹
1932년12월
文琭善 문록선
均如聖師著述에 對하여
균여성사저술에 대하여⟪금강저⟫23, 12~28
1939년1월
吳松齋 오송재
支那宋朝의 天台宗과 高麗諦觀禪師에대한고찰
지나송조의 천태종과 고려제관선사에 대한 고찰⟪금강저⟫23, 70~72
1939년1월
金德秀 김덕수
天台四敎儀의 著者 高麗沙門 諦觀法師에 就하야
천태사교의의 저자 고려사문 제관법사에 취하여⟪금강저⟫24, 13~17
1940년7월
江田俊雄
太古の法脈の錯亂を論ず
태고법맥의 착란을 논하다⟪金剛山⟫ 창간호, 22~27, 금강산사
소화10년9월
退耕相老 퇴경상로
了悟禪師의 四對八相法門
요오선사의 사대팔상법문⟪禪苑⟫3, 22~26, 선학원
소화7년8월
李殷相 이은상
淸平居士李資玄
청평거사 이통현⟪禪苑⟫3, 31~35, 녹원사
1957년11월
기타(자료・문화재・미술) 25
渡邊彰
浮石寺所藏三種華嚴經高麗版의 가치
부석사소장 삼종화엄경고려판⟪조선불교총보⟫4, 31~34, 30본산연합사무소
대정6년
仙巖寺寄本
선암사기본
高麗國大覺國師殿記
고려국대각국사전기⟪조선불교총보⟫9, 51~52
대정7년
閔漬
민책
高麗國義興華山曹溪宗麟角寺迦智山下普覺國尊碑銘
고려국의흥화산 조계종 인각사 가지산하 보각국존비명⟪조선불교총보⟫8, 43~46
대정7년
李東旿禪師寄本
이동오선사기본
부석사원융사비
⟪조선불교총보⟫6, 55~57
대정6년
李穡
이적
西天提納薄陀尊者浮屠銘
서천제납박다존자부도명⟪조선불교총보⟫5, 19~24
대정6년
林存
임존
海東天台始祖大覺國師之碑銘
해동천태시조대각국사지비명⟪조선불교총보⟫4, 25~30
대정6년
李之茂
이지무
坦然禪師碑
탄연선사비⟪조선불교총보⟫2, , 37~40
대정6년
崔南善
최남선
海東高僧傳解題
해동고승전해제⟪불교⟫37, 1~6, 불교사
소화2년(1927)
安震浩
안진호
三國遺事의 出現을 보고
삼국유사의 출현⟪불교⟫36, 8~10
소화2년(1927)
高裕燮
고유섭
佛敎가 高麗藝術意慾에 끼친 影響의 一考察
불교가 고려예술의욕에 끼친 영향의 일고찰⟪불교⟫(신)25, 4~18
1940
稻田春水
淸平山文殊院記에 就하야
청평산문수원기에 취하여⟪조선불교월보⟫15, 43~44, 조선불교월보사
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조선불교월보⟫15, 44~45
雙荷子 選
쌍하자
大鏡大師碑
대경대사비⟪조선불교월보⟫17, 37~39
記者 選
禪宗初試選佛場榜
선종초식선불장방⟪조선불교월보⟫19, 31~32
記者 選
普照國師碑銘
보조국사비명⟪조선불교월보⟫19, 33~36
記者 選
昇州曹溪勤禪師上堂云三界萬法惟是識心
승주 조계근선사 상당운 삼계만법유시식심⟪조선불교월보⟫19, 36
記者 輯
太古上石室和尙書(妙香山寄本)
태고상석실화상서⟪조선불교월보⟫19, 36~37
金君緌 撰
昇平府曹溪山松廣寺佛日普照國師碑銘幷序
승평부 조계산 송광사 불일보조국사 비명 병서⟪불교진흥회월보⟫1권3호, 34~38,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4월
逸素 選
曹溪山第二世故斷俗寺住持修禪社主贈諡眞覺國師碑銘幷序
조계산 제2세 고 단속사 주지 수선사 주증시진각국사비명 병서⟪불교진흥회월보⟫1권4호, 26~31
대정4년6월
記者 選
普照國師碑銘
보조국사비명⟪조선불교월보⟫19, 33~, 조선불교월보사
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조선불교월보⟫15, 44~45
1940
雙荷子 選
쌍하자
大鏡大師碑
대경국사비⟪조선불교월보⟫17, 35~39
1940
桐華寺寄本
동화사기본
高麗國大瑜珂桐華寺住持五敎都僧統普慈國尊增諡弘眞碑銘(조선, 이조억불사 其四에 첨부)
고려국대유하 동화사주지 고요도승통 보자국존증시홍진비명⟪불교진흥월보⟫1권7호, 38~39,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9월
기자 選
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조계산 송광사사원사적비⟪해동불보⟫3, 61~62, 해동불보사
대정2년12월
解波 選
해파
懶翁和尙參禪曲
나옹화상참선곡⟪불일⟫1, 18~22, 불일사
1924년7월
조선시대 51
李能和 이능화
李朝佛敎史 第1編
이조불교사⟪불교⟫1, 18-24
今村鞆
李朝と日本佛敎界との관계
이조와 일본불교계와의 관계⟪조선불교⟫60, 19-21, 조선불교사
소화4년
白象生 백상생
無學禪師에 대하여(日文)
무학선사에 대하여영인본 31, 37-38
미상
(一記者로 표기됨)
韓末의 佛敎界(日文)
한말의 불교계⟪조선불교⟫ 72, 37-39
소화5년
金泰洽 김태흡
松雲大師의 信仰과 그 學德(上·中·下)
(日文)
송운대사의 신앙과 그 학덕⟪조선불교⟫63(상), 38-42
⟪조선불교⟫64(중), 26-28
⟪조선불교⟫66(하), 32-34
소화4년
徐京保 서경보
涵虛和尙의 行狀
함허화상의 행장⟪불교(신)⟫53, 23-28, 불교사
소화18년
金泰洽 김태흡
東洋佛敎의 槪說(조선의 불교)
동양불교의 개설⟪불교⟫38, 8-10, 불교사
⟪불교⟫40, 17-20
1927(소화2년 )
退耕 퇴경
鞭羊禪師의 一生
편양선사의 일생⟪불교⟫79, 69-78, 불교사
소화6년
金泰洽 김태흡
世宗大王의 信佛과 月印千江之曲
세종대왕의 신불과 월인천강지곡⟪불교⟫69, 8-18
소화5년
金泰洽 김태흡
松雲大師의 信仰과 그 學德
송운대사의 신앙과 그 학덕金泰洽 깁태흡
西山大師의 信仰과 그 學德
서산대사의 신앙과 그 학덕⟪불교⟫58, 25-32
素荷 소하
壬辰兵亂과 朝鮮僧兵의 活躍
임진병란과 조선승병의 활약⟪불교⟫35(1-6), 2-9
⟪불교⟫38(7-9), 18-21(누락)
⟪불교⟫38(10-4), 28-32
소화2년
洪奭鉉 홍석현
僧將處英(雷默)의 略傳
승장처영(뇌묵)의 약전⟪佛敎⟫19, 19-22
1926(대정15년)
高橋亨 고교형
僧兵과 李朝佛敎의 盛衰
승병과 이조불교의 성쇠⟪불교⟫4-11
李朝佛敎史 1장 太祖의 불교
이조불교사⟪불교⟫창간호, 19-24
⟪불교⟫2, 17-23
⟪불교⟫3, 23-29
대정13년
李朝佛敎史 2장 高麗大藏經과 日本의 請求
⟪불교⟫4, 17-25, 불교사
⟪불교⟫5, 21-30
대정13년
李朝佛敎史 3장 이조이래해인장경인출사실
⟪불교⟫6, 27-36
대정13년
李朝佛敎史 4장 高麗以來의 大藏經에 관한 事蹟
⟪불교⟫7, 40-49
대정13년
李朝佛敎史 5장 高麗雕造大藏經板의 考證
⟪불교⟫8, 33-42
대정14년
李朝佛敎史 6장 佛敎의 宗派와 五敎兩宗
⟪불교⟫9, 27-32
대정14년
李朝佛敎史 7장 五敎兩宗이 禪敎兩宗으로됨
⟪불교⟫10, 25-28
대정14년
李朝佛敎史 8장 僧錄司로부터禪敎兩宗都會所
⟪불교⟫11, 22-24
대정14년
李朝佛敎史 9장 禪敎兩宗의 中廢~11장 禪敎兩宗의 又廢
⟪불교⟫12, 19-22
대정14년
李朝佛敎史 12선교양종의 부흥~13장 禪敎兩宗과 禪科의 始終
⟪불교⟫13, 22-27
대정14년
李朝佛敎史 14장 燕中兩王朝의 僧選狀態~16장 宣祖時에 戰功을 立한 僧徒에게 禪科를 特授
⟪불교⟫15, 10-15
대정14년
李朝佛敎史 18장 사찰의 재산
⟪불교⟫22, 17-22
⟪불교⟫27, 16-18
⟪불교⟫28, 11-13
대정15년
遊于禪宗甲刹大本山奉恩寺之記
유우선종갑찰대본산봉은사지기⟪불교불교진흥회월보⟫1권 3호, 43-46, 불교진흥회본부
대정4년 4월
尙玄居士 상현거사
李朝抑佛史 其一
李朝抑佛史 其二
이조억불사⟪불교불교진흥회월보⟫1권 4호, 45-46
⟪불교불교진흥회월보⟫1권 5호, 31-32
記者 選
朝鮮敎史遺考
조선불교사유고⟪해동불보⟫6, 20-24, 해동불보사
⟪해동불보⟫8, 19-22
상현
逍遙山記
長春洞雜詠
소요산기 장춘동잡영⟪조선불교계⟫3, 49-51
상현
虛白大師碑銘
東方禪宗訥庵大和尙傳
허백대사비명 동방선종눌암대화상전⟪조선불교계⟫3, 44-48
상현
禪門永嘉集과 金剛經說義
선문영가집과 금강경설의⟪조선진흥회월보⟫1권8호, 39-40, 불교진흥회본부
李丙燾
李朝太祖의 開國과 當時의 圖讖說
이조태조의 개국과 당시의 도참설⟪一光⟫8, 20-32, 중앙불전교우회
退耕 퇴경
李朝時代佛敎諸歌曲과 名稱歌曲의 關係
이조시대불교제가곡과 명칭가곡의 관계⟪一光⟫7, 31-41
江田俊雄
釋譜詳節と月印千江之曲と月印釋譜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과 월인석보⟪一光⟫7, 15-22
退耕相老
梅月堂에 대한 小考
매월당에 대한 소고⟪一光⟫6, 29-38
江田俊雄
朝鮮語譯佛典に就いて
조선어역불전⟪一光⟫4, 36-50
河村道器
王師無學及び釋王寺の創建に就て
왕사무학과 석왕사의 창건⟪一光⟫2, 29-36
朴漢永
蓮潭과 仁岳과의 關係
연담과 인악과의 관계⟪금강저⟫20, 34, 동경동맹
朴允進
印度阿育王과 朝鮮世祖大王에 對하야
인도아육왕과 조선세조대왕에 대하여⟪금강저⟫20, 35-38
張道煥 장도환
淨業院과 婦人運動과의 歷史的 意義
정업원과 부인운동과의 역사적 의의⟪금강저⟫20, 30-33
釋天輪 석천륜
四溟堂松雲大師와 景徹玄蘇의 一面
사명당송운대사와 경철현소의 일면⟪금강저⟫22, 39-40
之一 譯
金秋史가 白坡和尙에게 보낸 辨妄證十五條
이조불교사김추사가 백파화상에게 보낸 변망증십오조⟪선원⟫2, 36-46, 선학원
趙明基 조명기
無學大師의 逸話
무학대사의 일화⟪鹿苑⟫창간호, 102-104, 녹원사
趙明基 조명기
西山大師의 出家動機(상·하)
서산대사의 출가동기⟪녹원⟫4, 29-32, 녹원사
⟪녹원⟫5, 25-27, 녹원사
자료(비문) 35
趙性憙 저 조성희
鐵鏡大師實跡記(비문)
철경대사실적기⟪조선불교총보⟫10, 65-66, 30본산연합사무소
朝鮮總督府 조선총독부
李能和 殿(서간문)
이능화 전⟪조선불교총보⟫10, 66-누락
大谷政平
佛後身인 震默和尙(4)
불후신인 진묵화상⟪불교⟫(신)47, 23-26, 불교사
蓮潭 遺稿 연담
安義靈覺寺華嚴閣新建記
안희영각사화엄각신건기⟪조선불교총보⟫ 5, 31-32, 30본산연합사무소
四佛山人 사불산인
五臺山에 留鎭한 御牒에 對하야
오대산에 유전한 어첩에 대하여⟪불교⟫59, 28-30, 불교사
崔南善 최남선
影印臺山御牒叙
영인대산어첩서⟪불교⟫59, 30-35
尹喜求 撰
碧波大禪師碑銘
벽파대사비명⟪조선불교총보⟫18, 68-69, 30본산연합사무소
應雲 燈寤
霜月大師碑銘
상월대사비명⟪조선불교총보⟫10, 53-54
權近 撰
有明朝鮮國彌智山龍門寺謚正智國師碑銘幷序
유안조선국미지산룡문사익정지국사비명병서⟪조선불교월보⟫15,42-43, 조선불교월보사
雙荷子 選 쌍하자
普濟都大禪師碑
⟪조선불교월보⟫16
記者 輯
敎諭書
⟪조선불교월보⟫17, 39-40
記者 選
賜報恩闡驕國一都大禪師碧巖碑銘
⟪조선불교월보⟫18, 35-37
華嚴寺寄本 화엄사기본
帖旨書類
⟪조선불교월보⟫18, 37-38
華嚴寺寄本
孝宗大王降札
⟪조선불교월보⟫18, 38
李能和尙玄 이능화 상현
大圓覺寺(今塔公園經像鐘塔事蹟一括
⟪불교진흥회월보⟫1권1호, 14-20, 불교진흥회본부
陽村權近 撰
朝鮮普覺國師(幻菴混修)碑銘幷序
조선보각국사(환암혼수)비명병서⟪불교진흥회월보⟫1권1호, 20-24
猊雲散人 撰
東土第一禪院七佛菴中創主大律師大隱和尙行狀
⟪불교진흥회월보⟫1권2호, 49-50
雙荷子 選
華潭碑銘
화담비명⟪조선불교월보⟫14, 41-43
⟪조선불교월보⟫17
記者 選
大東禪敎考
대동선교고⟪해동불보⟫1, 해동불보사
⟪해동불보⟫2, 30-36
⟪해동불보⟫3, 32-27
⟪해동불보⟫5, 31-44
記者 選
雪坡大師碑銘幷序
설파대사 비명병서⟪해동불보⟫1, 39-40
碑在通度寺
사바교주석가여래영공사리부도비
⟪해동불보⟫2, 39-40
洪啓禧 撰
有明朝鮮國喚醒堂大禪師碑銘幷序
유명조선국환성당대선사비명병서⟪해동불보⟫2, 41-43
李明漢 撰
朝鮮江原道金剛山鞭羊堂大禪師碑銘幷序
조선 강원도 금강산 편양당 대선사 비명병서⟪해동불보⟫3, 62-63
李端相 撰
朝鮮金剛山楓潭堂大禪師碑銘幷序
조선 금강산 풍담당 대선사 비명병서⟪해동불보⟫3, 64-65
記者 選
西山大師禪敎釋
서산대사선교석⟪해동불보⟫4, 25-29
⟪해동불보⟫5, 27-30
猊雲散人
海東華嚴宗函溟堂大師行狀
해동 화엄종 함명당 대사 행장⟪해동불보⟫4, 56-58
猊雲 惠勤
枕溟堂行狀
침명당행장⟪해동불보⟫8, 28-31
記者 選
智異山實相寺重興事蹟詩序
지리산 실상사 중흥사적시서⟪해동불보⟫1, 37-38
尙玄居士
大圓覺寺碑陰記
대원각사비음기⟪조선불교⟫2, 40-43, 조선불교사
尙玄居士 選
慶南河東郡智異山雙溪寺七佛庵上樑文
경남하동군지리산쌍계사칠불암상량문⟪조선불교계⟫2, 51-52
梵海 覺岸撰
芙蓉大師傳
부용대사전⟪불교진흥회월보⟫1권9호, 37-39, 불교진흥회본부
猊雲散人
故自下禪師舍利塔銘幷序·四山碑銘序
⟪불교진흥회월보⟫1권9호, 53-55
芝山居士 選
碧松堂埜老行錄·五臺山月精寺事蹟
⟪불교진흥회월보⟫1권8호, 43-49
尙玄
道峰山回龍寺遊覽의栞·楊州道峰山回龍寺重修記
江原道襄陽郡洛山寺의 梵鐘에 就하야
⟪불교진흥회월보⟫1권7호, 49-52
惠庵玖藏 撰
全羅南道求禮郡智異山泉垠寺龍潭大禪師行狀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 천은사 용담대선사행장金剛山楡岾寺事蹟記
금강산유점사 사적기⟪불교진흥회월보⟫1권7호, 40-44
藕堂
金剛山楡岾寺重刱大化主愚隱大師行蹟
금강산유점사중창대화주우은대사행적⟪불교진흥회월보⟫1권6호, 35~36
이 목록은 오경후 교수가 정리한 목록을 DB에서 제공받아서 서비스하는 자료입니다. 인용/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해 주십시오.
오경후, 2024 ⟪일제강점기불교사연구목록⟫, DB(www.buddhapad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