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 More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 자
조선독립의 서阿彌陀經朝鮮獨立之書

自由 萬有의 生命이요 平和 人生의 幸福이니, 故로 自由가 無한 人은 死骸와 同하고 平和가 無한 者난 最苦痛의 者라 壓迫을 被하난 者의 周圍의 空氣난 墳墓로 化하고 爭奪을 事하는 者의 境涯는 地獄이 되나니 宇宙萬有의 理想的 最幸福의 實在는 곳 自由와 平和라. 故로 自由를 得하기 爲하야는 生命을 鴻毛視하고 平和를 保하기 爲하야 犧牲을 甘飴嘗하나니 此는 人生의 權利인 同時에 또한 義務일지로다. 그러나 自由의 公例는 人의 自由를 侵치 안이함으로 界限을 삼나니 侵掠的 自由난 沒平和의 野蠻 自由가 되며 平和의 精神은 平等에 在하니 平等은 自由의 相敵을 謂함이라. 故로 威壓的 平和는 屈辱이 될 뿐이니 眞自由는 반다시 平和를 保하고 眞平和는 반다시 自由를 伴할지라. 自由여 平和여 全人類의 要求일지로다.

자유는 만물의 생명이요 평화는 인생의 행복이다. 그러므로 자유가 없는 사람은 죽은 시체와 같고 평화를 잃은 자는 가장 큰 고통을 겪는 사람이다. 압박을 당하는 사람의 주위는 무덤으로 바뀌는 것이며 쟁탈을 일삼는 자의 주위는 지옥이 되는 것이니, 세상의 가장 이상적인 행복의 바탕은 자유와 평화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생명을 터럭처럼 여기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희생을 달게 받는 것이다. 이것은 인생의 권리인 동시에 또한 의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참된 자유는 남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음을 한계로 삼는 것으로서 약탈적 자유는 평화를 깨뜨리는 야만적 자유가 되는 것이다. 또한 평화의 정신은 평등에 있으므로 평등은 자유의 상대가 된다. 따라서, 위압적인 평화는 굴욕이 될 뿐이니 참된 자유는 반드시 평화를 동반하고 참된 평화는 반드시 자유를 함께 한다. 실로 자유와 평화는 전인류의 요구라 할 것이다.
그러나 人類의 知識은 漸進的임으로 草味로붓허 文明에, 爭奪로붓허 平和에 至함은 歷史的 事實로 證明하기 足하도다. 人類 進化의 範圍난 個人的으로부터 家族, 家族的으로붓허 部落, 部落的으로붓허 國家, 國家的으로붓허 世界, 世界的으로붓허 宇宙的主義에 至하도록 順次로 進步함이니 部落主義 以上은 草昧時代의 落謝塵에 屬한지라 回首의 感懷를 資하난 外에 論述할 必要가 無하도다. 幸인지 不幸인지 十八世紀 以後의 國家主義난 實로 全世界를 風靡하야 騰奔의 絶頂에 帝國主義와 그 實行의 手端(段) 卽 軍國主義를 産出함에 至하야 所謂 優勝劣敗, 弱肉强食의 學說은 最眞不變의 金科玉條로 認識되야 殺伐强奪의 國家 或 民族的 戰爭은 자못 止息될 日이 無하야 或幾千年의 歷史國을 丘墟하며 或幾十百萬의 生命을 犧牲하난 事가 地球를 環하야 無한 處가 無하니 全世界를 代表할 만한 軍國主義난 西洋에 獨逸이 有하고 東洋에 日本이 有하엿도다. 그러나 所謂 强者 卽 侵掠國은 軍艦과 鐵砲만 多하면 自國의 野心壑欲을 充하기 爲하야 不人道 蔑正義의 爭奪을 行하면서도 그 理由를 說明함에 世界 或 局部의 平和를 爲한다던지 爭奪의 目的物 卽 被侵掠者의 幸福을 爲한다던지 하난 等 自欺欺人의 妄語를 弄하야 儼然히 正義의 天使國으로 自居하나니 例하면 日本이 暴力으로 朝鮮을 合倂하고 二千萬 民族을 奴隷待하면서도 朝鮮을 合倂함은 東洋平和를 爲함이며, 朝鮮民族의 安寧 幸福을 爲함이라 云云함이 是라.
그러나 인류의 지식은 점차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역사는 인류가 몽매한 데서부터 문명으로, 쟁탈에서부터 평화로 발전하고 있음을 사실로써 증명하고 있다. 인류 진화의 범위는 개인적인 데로부터 가족, 가족적인 데로부터 부락, 부락적인 것으로부터 국가, 국가적인 것에서 세계, 다시 세계적인 것에서 우주주의로 진보하는 것인데 여기서 부락주의 이전은 몽매한 시대의 티끌에 불과하니 고개를 돌려 감회를 느끼는 외에 별로 논술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18세기 이후의 국가주의는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이 소용돌이 속에서 제국주의가 대두되고 그 수단인 군국주의를 낳음에 이르러서는 이른바 우승 열패·약육 강식의 이론이 만고 불변의 진리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국가 간에, 또는 민족 간에 죽이고 약탈하는 전쟁이 그칠 날이 없어, 몇천 년의 역사를 가진 나라가 잿더미가 되고 수십만의 생명이 희생당하는 사건이 이 세상에서 안 일어나는 곳이 없을 지경이다. 그 대표적인 군국주의 국가가 서양의 독일이요, 동양의 일본이다.
이른바 강대국, 즉 침략국은 군함과 총포만 많으면 스스로의 야심과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도의를 무시하고 정의를 짓밟는 쟁탈을 행한다. 그러면서도 그 이유를 설명할 때는 세계 또는 어떤 지역의 평화를 위한다거나 쟁탈의 목적물 즉 침략을 받는 자의 행복을 위한다거나 하는 기만적인 헛소리로써 정의의 천사국으로 자처한다. 예를 들면, 일본이 폭력으로 조선을 합병하고 2천만 민중을 노예로 취급하면서도 겉으로는 조선을 병합함이 동양 평화를 위함이요, 조선 민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한다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嗚呼라 弱者에 終古의 弱者가 無하고 强者에 不盡의 强者가 無하니 (曝寒의) 大運이 其輪을 轉하난 時난 復讎的 戰爭은 반다시 侵掠的 戰爭의 踵을 隨하야 起할지니 侵掠은 戰爭을 誘致하난 事라 엇지 平和를 爲하난 侵掠이 有하며 또한 엇지 自國幾千年의 歷史 他國侵掠의 劍에 斷絶되고 幾百千萬의 民族은 外人의 虐待下에 奴隷가 되고 牛馬가 되면서 此를 幸福으로 認할 者가 有하리오. 何民族을 勿論하고 文明程度의 差異는 有할지나 血性이 無한 民族는 無하니 血性을 具한 民族이 엇지 永久히 人의 奴隷를 甘作하야 獨立自存을 圖치 아니하리오. 故로 軍國主義 卽 侵掠(的)主義는 人類의 幸福을 犧牲하는 惡魔(最魔術)일 뿐이니 엇지 是와 如한 軍國主義가 天壤無窮의 運命을 保하리오. 理論보다 事實,(以下 不明) 嗚呼라 ‘劍’이 엇지 萬能이며 ‘力’이 엇지 勝利리오. 正義가 有하고 人道가 有하도다. 侵掠又侵掠 惡極慘極의 軍國主義 獨逸로써 最終幕을 演치 아니하엿는가? 血耶肉耶 鬼哭神愁의 歐洲 大戰爭은 大略 一千萬의 死傷者를 出하고 幾多億의 金錢을 糜費한 後에 正義人道를 標榜하 旗幟下에셔 講和條約을 成立하게 되엿도다. 그러나 軍國主義의 終極도 實로 色彩를 莊嚴히 함에 遺憾이 無하엿도다. 全世界를 蹂躪하랴는 私欲을 充하기 爲하야 苦心焦思 三十年의 準備로 幾百萬의 健兒를 數百哩의 戰線에 立하고 鐵騎飛船을 鞭馳하야 左衝右突 東奔西擊 開戰 三個月 內에 巴黎를 陷落한다 自期하던 가이제르의 聲言은 一時의 壯絶을 極하엿도다. 그러나 그것도 軍國主義的 訣別의 終曲일 뿐이며, 理想과 聲言 뿐 아니라 作戰計劃의 事實도 卓越하야 休戰을 開議하던 日까지 聯合國側 兵馬의 足跡은 獨逸國境의 一步地를 踰越치 못하엿스니 航空機 空에셔 潛航艇은 海에셔 自動砲난 陸에셔 各各 其 妙를 極하야 實戰의 作略에 絢爛한 色彩를 發하엿도다. 그러나 그것도 軍國主義的 落照의 反射일 뿐이라. 噫라, (一)億萬 人民의 上에 君臨하고 世界 一括의 雄圖를 自期하야 對世界의 宣戰을 布告하고 百戰百勝의 槪를 有하야 神耶人耶의 間에셔 縱橫自在하던 獨逸皇帝가 一旦에 自己生命의 神으로 認하난 ‘劍’을 解하고 踽凉落拓, 天涯淪落의 和蘭 辟陬에 殘喘을 (僅)保함은 何等의 突變이냐? 此는 곳 가이제르의 失敗 뿐 아니라 軍國主義의 失敗니 一世의 快事를 感하는 同時에 其人을 爲하야난 一線의 同情을 禁치 못하리로다. 그러나 聯合國側도 獨逸의 軍國主義를 打破한다 聲言하엿스나 其 手端 方法의 實用은 亦是 軍國主義의 遺物인 軍艦 鐵砲 等의 殺人具이니 是는 蠻夷로 蠻夷를 攻함이니 何의 別이 有하리오. 獨逸의 失敗가 聯合國의 戰勝이 안인즉 數多한 强弱國의 合致한 兵力으로 五年間의 持久戰에 獨逸을 制勝치 못함은 此는 또한 聯合國側 準軍國主義의 失敗가 아닌가. 그러면 聯合國側의 砲가 强함이 안이요, 獨逸의 劍이 短함이 아니어늘 戰爭의 終極을 告함은 何故오? 曰 正義 人道의 勝利오 軍國主義의 失敗니라. 然하면 正義 人道 卽 平和의 神은 聯合國의 手를 借하야 獨逸의 軍國主義를 打破함인가. 曰 否라. 正義 人道 卽 平和의 神은 獨逸人民의 手를 假하야 世界의 軍國主義를 打破함이니 곳 戰爭中(의) 獨逸革命이 是라. 獨逸革命은 社會黨의 手에(서) 起하엿슨즉 그 由來가 久하고 또한 露國革命의 刺戟을 受한 바가 有하나 統括的으로 (말)하면 戰爭의 苦를 感하야 軍國主義의 非를 痛切히 覺悟한 故로 談笑從容의 間에서 戰爭을 自破하고 怒濤驚浪의 軍國主義를 發揮하랴던 劍을 倒하야 軍國主義의 自殺을 遂하고 共和革命의 成功을 博하야 平和的 新運命을 開拓함인즉 聯合國은 其隙을 乘하야 漁父의 利를 得함이라. 今番 戰爭의 終極에 對하야난 聯合國의 勝利 뿐 아니라 또한 獨逸의 勝利라 하리로다.
약자는 본래부터 약자가 아니요, 강자 또한 언제까지나 강자일 수 없는 것이다. 갑자기 천하의 운수가 바뀔 때에는 침략 전쟁의 뒤꿈치를 물고 복수를 위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니 침략은 반드시 전쟁을 유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찌 평화를 위한 전쟁이 있겠으며, 또 어찌 자기 나라의 수천 년 역사가 외국의 침략에 의해 끊기고, 몇백, 몇천만의 민족이 외국인의 학대 하에 노예가 되고 소와 말이 되면서 이를 행복으로 여길 자가 있겠는가.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문명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피가 없는 민족은 없는 법이다. 이렇게 피를 가진 민족으로서 어찌 영구히 남의 노에가 됨을 달게 받겠으며 나아가 독립 자존을 도모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군국주의, 즉 침략주의는 인류의 행복을 희생시키는 가장 흉악한 마술에 지나지 않는다. 어찌 이같은 군국주의가 무궁한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겠는가. 이론보다 사실이 그렇다. 칼이 어찌 만능이며 힘을 어떻게 승리라 하겠는가. 정의가 있고 도의가 있지 않는가.
침략만을 일삼는 극악 무도한 군국주의는 독일로써 그막을 내리지 않았는가. 귀신이 곡하고 하늘이 슬퍼한 구라파 전쟁은 대략 1천만의 사상자를 내고, 몇 억의 돈을 허비한 뒤 정의와 인도를 표방하는 기치 아래 강화 조약을 성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군국주의의 종말은 실로 그 빛깔이 찬란하기 그지없었다.
전세계를 유린하려는 욕망을 채우기 위하여 노심 초사 20년간에 수백만의 청년을 수백 마일의 싸움터에 배치하고 장갑차와 비행기와 군함을 몰아 좌충 우돌, 동쪽을 찌르고 서쪽을 쳐 싸움을 시작한 지 3개월 만에 파리를 함락한다고 스스로 외치던 카이제르의 호언은 한때 장엄함을 보였었다. 그러나 이것은 군국주의의 결별을 뜻하는 종곡에 지나지 않는다.
이상과 호언 장담뿐이 아니라 독일의 작전 게획도 실로 탁월하였다. 휴전 회담을 하던 날까지 연합국측의 군대는 독일 국경을 한 발자국도 넘지 못하였으니 비행기는 하늘에서, 잠수함은 바다에서, 대포는 육지에서 각각 그 위력을 발휘하여 싸움터에서 찬란한 빛을 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군국주의적 낙조의 반사에 불과하였다.
아아, 1억만 인민의 머리 위에 군림하고, 세계를 손아귀에 넣을 것을 다짐하면서 세게에 선전 포고했던 독일 황제. 그리하여 한때는 종횡 무진으로 백전 백승의 느낌마저 들게 했던 독일 황제가 하루 아침에 생명이나 하늘처럼 여기던 칼을 버리고 처량하게도 멀리 화란 한 구석에서 겨우 목숨만을 지탱하게 되었으니 이 무슨 돌변이냐. 이는 곧 카이제르의 실패일 뿐 아니라 군국주의의 실패로서 통쾌함을 금치 못하는 동시에 그 개인을 위해서는 한가닥 동정을 아끼지 않는 바이다.
그런데 연합국측도 독일의 군국주의를 타파한다고 큰소리 쳤으나 그 수단과 방법은 역시 군국주의의 유물인 군함과 총포 등의 살인 도구였으니 오랑캐로서 오랑캐를 친다는 점에서는 무엇이 다르겠는가. 독일의 실패가 연합국의 전승을 말함이 아닌즉 많은 강대국과 약소국이 합력하여 5년간의 지구전으로도 독일을 제압하지 못한 것은 이 또한 연합국측 준군국주의의 실패가 아닌가.
그러면 연합국측의 대포가 강한 것이 아니었고 독일의 칼이 약한 것이 아니었다면 어찌하여 전쟁이 끝나게 되었는가. 정의와 인도의 승리요, 군국주의의 실패 때문인 것이다. 그렇다면 정의와 인도, 즉 평화의 신이 독일 국민과 손을 잡고 세계의 군국주의를 타파한 것이다. 그것이 곧 전쟁 중에 일어난 독일의 혁명이다.
독일 혁명은 사회당의 손으로 이룩된 것인 만큼 그 유래가 오래고 또한 러시아 혁명의 자극을 받은 바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총괄적으로 말하면, 전쟁의 쓰라림을 느끼고 군국주의의 잘못을 통감한 사람들이 전쟁을 스스로 파기하고 군국주의 칼을 분질러 그 자살을 도모함으로써 공화 혁명의 성공을 얻고 평화적인 새 운명을 개척한 것이다. 연합국은 이 틈을 타 어부지리를 얻는 데 불과하다.
今番 戰爭의 終極에 對하야난 聯合國의 勝利 뿐 아니라 또한 獨逸의 勝利라 하리로다.
何故오? 今番般戰爭에 獨逸이 孤注一擲의 最後 一戰을 決할지라도 勝負를 可히 知치 못할지오. 假使 獨逸이 一時의 勝利를 得한다 할지라도 聯合國의 復讎戰爭이 一起再起하야 獨逸의 滅亡을 見치 아니하면 兵을 解할 日이 無할지라. 故로 獨逸이 戰敗치 아늘 뿐(만) 아니라 戰勝이라도(고) 할 만한 境遇에 在하야 斷然히 屈辱的 休戰條約을 承諾하고 講和를 請함은 곳 機를 見하야 勝을 制함이니 講和會議에 對하야도 可及의 屈辱的 條(約)에난 無條件으로 承諾함을 推知하기 不難하도다 (三月一日 以後의 外界消息은 不知). 그러하면 現金(今)主義로 見하면 獨逸의 失敗라 할지나 遠視的으로 見하면 獨逸의 勝利라 할지로다.
噫라 曠古 未曾有의 歐洲의 大戰爭과 奇怪 不思議의 獨逸의 革命은 十九世紀 以前의 軍國主義 侵掠主義의 餞別會가 되난 同時에 二十世紀 以后의 正義 人道的 平和主義의 開幕이 되여 가이제르의 失敗가 軍國主義的 各國의 頭上에 痛捧(棒)을 下하고 威日遜의 講和基礎 條件이 各領土의 古査에 春氣를 傳함에 侵掠國의 壓迫下에서 伸(呻)吟하던 民族은 騰空의 氣와 決河의 勢로 獨立自決을 爲하야 奮鬪하게 되엿스니 波蘭의 獨立이 是며 채크(체코)의 獨立이 是며 愛蘭의 獨立宣言이 是며 印度의 獨立運動이 是며 比律賓의 獨立經營이 是며 朝鮮의 獨立宣言이 是며.(三月一日까지 狀態) 各民族의 獨立 自決은 自存性의 本能이며 世界의 大勢며 宇宙神明의 贊同이며 全人類(의) 未來 幸運의 源泉이라. 誰가 此를 (制하며 誰가 此를) 防하리오.
이번 전쟁의 결과는 연합국뿐만 아니라 또한 독일의 승리라고도 할 수 있다. 어째서 그러한가. 만약 이번 전쟁에 독일이 최후의 결전을 시도했다면 그 승부를 예측할 수 없었을 것이며, 또한 설사 독일이 한때 승리를 거두었가 하더라도 반드시 연합국의 복수전쟁이 일어나 독일이 망하지 않으면 군대를 해산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독일이 패전한 것이 아니고 승리했다고도 할 수 있는 때에 단연 굴연적인 휴전 조약을 승낙하고 강화에 응한 것은 기회를 보아 승리를 먼저 차지한 것으로서, 이번 강화 회담에서도 어느 정도의 굴욕적 조약에는 무조건 승인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3월 1일 이후의 소식은 알 수 없음). 따라서, 지금 보아서는 독일의 실패라 할 것이지만 긴 안목으로 보면 독일의 승리라 할 것이다.
아아, 유사 이래 처음 있는 구라파 전쟁과 기이하고 불가사의한 독일의 혁명은 19세기 이전의 군국주의, 침략주의의 전별회가 되는 동시에 20세기 이후의 정의·인도적 평화주의의 개막이 되는 것이다. 카이제르의 실패가 군국주의 국가의 머리에 철퇴를 가하고 윌슨의 강화 회담 기초 조건이 각 나라의 메마른 땅에 봄바람을 전해 주었다. 이리하여 침략자의 압박하에서 신음하던 민족은 하늘을 날 기상과 강물을 쪼갤 형세로 독립·자결을 위해 분투하게 되었으니 폴란드의 독립 선언, 체코의독립, 아일랜드의 독립 선언, 조선의 독립 선언이 그것이다 (3월 1일까지의 상태).각 민족의 독립 자결은 자존성의 본능이요, 세계의 대세이며, 하늘이 찬동하는 바로서 전인류의 앞날에 올 행복의 근원이다. 누가 이를 억제하고 누가 이것을 막을 것인가.
DB. 미니멀한 불교사전, 庫佛祥 copyright ©D.Kang 2020-2025 | email pada.dic@gmail.com kakao open chat (https://open.kakao.com/o/gj0Ry0Pd) pass.5555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