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저 중노릇 하는 것이 적은 일이리요
잘 먹고 잘 입기 위하야 중노릇하는 것이 아니라
부쳐 되여 살고죽는 것을 면하자고 하는 것이니
부쳐 되려면 내 몸에 있는 내 마음을찾아보아야 하는 것이니
내 마음을찾으려면 몸뚱이는 송장으로 알고
세상일이 좋으나 좋지 안으나 다 꿈으로 알고
사람 죽는 것이 아침에있다가 저녁에 죽는 줄로 알고
죽으면 지옥에도 가고 즘생도 되고 귀신도 되여
한없는 고통을 받는 줄을 생각하야
세상만사를 다 잊어버리고 항상 내 마음을 궁구하되
보고 듯고 일체 일을 생각하는 놈이모양이 어떻게 생겻는고
모양이 있는 것인가 모양이 없는 것인가
큰가 작은가 누른가 푸른가 밝은가 어두운가
의심을 내여 궁구하되
고양이가 쥐잡듯 하며 닭이 알안듯 하며
늙은 쥐가 쌀든 궤ㅅ작 좃듯하야
항상 마음을 한군데 두어 궁구하야
잊어버리지 말고 의심하야
일을 하더라도 의심을 놓지 말고
그저 있을 때라도 의심하야 지성으로하여 가면
필경에 내 마음을 깨다를때가 있을 것이니
부대 신심을 내여 공부할지니라
대저 사람되기 어렵고
사람되여도 사나히 되기 어렵고
사나히 되여도 중노릇 하기 어렵고
중이 되여도 부쳐님 바른 법을 맞나기 어려우니
그런 일을 깊이 생각하며
부쳐님 말슴이 사람이 된 이는 손톱우에 흙같고
사람의 몸 잃고 즘생된 이는 왼 세상 흙같다 하시고
또 사람의 몸 한번 잃으면
억만년이라도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 하시며
또 항상 지옥에 처하기를 동산에 놀듯하며
아귀귀신이나 축생되기를 내집에 있듯한다 하시며
또한번 성불하면 다시 죽도 살도 않고
다시 고생을 아니 받는다 하시니
이런 말슴을 자서히 들어 생각하며
또 이전에 권선사라는 스님은
아침부터 공부하다가 해가 질 때면 다리를 뻗고 울어 가로대
오늘 해도 공연히 지내고 마음을 깨닷지 못하엿다 하고
날마다 그리한 이도 있고
공부하노라고 마음 지극히 먹은 이를 모다 적을 수 없으니
다 죽고 살기를 잊고 먹고 입기를 잊고 잠자기도 잊고 공부하셨으니
우리도 그렇게하여야 공부가 될터이니 자서히 생각하며
이전에 동산스님이 글을 지어가로대
거록하다는 이름도 구하지 말고
재물도 구하지 말고 영화스러운 것도 구하지 말고
그렁저렁 인연을 따라 한세상을 지내여서
옷은 떠러지거든 거듭거듭 기워 입고
양식은 없거든 가끔가끔 구하여 먹을지로다
턱어리 밑에 세마듸 기운이 끈어지면
문듯 송장이요 죽은 후에는 허ㅅ이름 뿐이로다
한낮 허환한 몸이 멫을이나 살 것이관대
쓸대없는 일을 하느라고 내 마음을 깜깜하게 하여
공부하기를 잊어버리리요 하시니라
내 마음을 깨다른 후에 항상 그 마음을 보전하야
깨끗이 하고 고요히 하야 세상에 물들지 말고 닦아 가면
한없는 좋은 일이 하도 많으니 부대 깊이 믿으며
죽을적에라도 아프도 않고 알치도 않고
마음대로 극락세계에도 가고 가고싶은대로 가나니라
부쳐님 말슴에 하시기를
남자나 녀인이나 로소를물론하고 이 법문을 믿고 공부하면
모다 부쳐가 되리라 하시니 어찌 사람을 속이리요
오조홍인대사 말슴이
내 마음을 궁구하면 깨다를 것이라 하시고 맹서하시되
너의가 내말을 곶이 아니 들으면
세세생생에호랑이에게 죽을 것이요
내가 너의를 속이면 후생에 지옥에 떠러지리라 하시엇으니
이런 말슴을 듯고 어찌 믿지 아니하리요
공부하는 사람이 마음 움적이지 않기를 산과 같이하고
마음을 넓게 쓰기를 허공과 같이 하고
지혜로 불법 생각하기를 날과 달같이 하야
남이 나를 옳다고 하든지 그르다고 하든지 마음에 끄달리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잘하고 잘못하는 것을 내 마음으로 분별하여 참견말고
좋은 일이 당하든지 좋지아니한 일이 당하든지
마음을 평안히 하며 무심히 가져서
남 봄에 숙맥같이 지내고 병신같이 지내고
벙어리같이 소경같이 귀먹은 사람같이 어린아이같이 지내면
마음에 절로망상이 없어지나니라
설사 세상일을 똑똑히 분별하더라도
비유하건대 똥덩이 가지고 음식 만들려는 것과 같고
진흙 가지고 흰 옥 만들려는 것과 같애여
성불하여 마음닦는대 도시 쓸대없는 것이니
부대 세상일을 잘 할려고 말지니라
다른 사람 죽는 것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하여
내 몸을 튼튼히 믿지 말고
때때로 깨우처 마음 찾기를 놓지 말지니라
이 마음이 어떻게 생겼는고 의심하여 오고 의심하여 가고
간절히 생각하기를 배고픈 사람이 밥 생각하듯 하여
잊지 말고 할지니라
부쳐님이 말슴하시기를
일체 세상 일이 다 허망하다 하시고
중생의 모든 하는 일이 다 나고 죽는 법이라 하시고
오즉 제 마음을 깨다러야 진실한 법이라 하시니라
술을 먹으면 정신이 흐리니 먹지 아니할 것이요
음행은 정신 갈려 애착이 되니 상관 아니할 것이요
살생은 마음에 진심을 도으니 아니할 것이요
고기는 먹으면 정신이 흐리니 먹지 아니할 것이요
거즛말은 내 마음에 사심을 기루니 아니할 것이요
도적질은 내 마음에탐심을 느리니 아니할 것이요
파와마늘은 내 마음에 음심과 진심을 도두니 먹지 아니할 것이요
그 남어지 일체 것이 내게 해로운 것이니 간섭치 말지니라
목우자 스님 말슴이 재물과 색이 앙화됨이 독사보다 심하니
몸을 살펴 그런줄 알아 항상 멀리 여의라하시니
이런 깊은 말슴을 본받아 행하여야 공부가 순히 되나니라
부쳐님 말슴에 한번 진심내면 백만가지나 죄가 생긴다 하시니
제일 골내는 마음을 참을지니라
예전 스님네 말슴이 골내는 마음으로
호랑이와 배암과 벌과 그런 독한 물건이 되고
가벼운 마음으로 나비와 새가 되고
좀스러운 마음으로 개아미와 모기같은 것이 되고
탐심내는 마음으로 배고파 우는 귀신이 되고
탐심과 골내는 마음이 만하고 크면 지옥으로 가고
일체 마음이 다 여러가지 것이 되여가니
일체 여러가지 마음이 없으면 부쳐가 되나니라
착한 마음이 좋다하여도 또 천당으로 갓다가 도로 떠러져
지옥이나 축생이 되여가니 착한마음도 쓸대없고
일체 마음을 없애고 하면 다른대로 갈 것 없고
마음이 깨끗하야 혼곤하지 아니하면 캄캄한대로 가지 아니하니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이 부쳐되여 가는 길이니
내 마음을 항상 의심하야 궁구하면 자연 고요하고 깨끗하여지나니
극칙 고요하고 깨끗하면 절로 마음을 깨다라 부쳐 되나니라
도라가지 아니하고 곳은 길이니 이렇게 하여갈지니라
이 법문을 가끔 보고 읽고 남에게 일러주면 팔만대장경 본 공덕과 같고
그대로 공부하면 일생에 성불할 것이니
속이는 말로 알지 말고 진심으로 믿어 하여 갈지니라
산은 깊고 물은 흐르고 각색 초목은 휘여져 있고
이상한 새소리는 사면에 울고 적적하야
세상 사람은 오지 안는대
고요히 앉아 내 마음을 궁구하니
내게 있는 내 마음이 부쳐가 아니면 무엇인가
듯기 어려운 좋은 법을 들엇으니 신심을 써서 할지니라
마음을 넘우 급히 쓰면 신병이 나고 두통도 나나니
마음을 갈아앉처 평안히 하여가라
조심하라 억지로 생각하려 말고 의심을 내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