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 예천 용문사 龍門寺에서 불경열람(?) (14/16)1896 신일(信一)을 스승으로 출가(?)9년간 용문사 강원에서 수학김룡사(金龍寺), 대승사(大乘寺)·봉선사(奉先寺) 등에서 강사 - 각 강원 역사 뒤져볼 것1906 명진학교 明進學校) 수학,(26세) , 1회 졸업생졸업 후 경북 예천에서 포교활동1914 예천 용문사, 명봉사 鳴鳳寺 연합 불교포교당 예천포교소(예천 노하동 24) 설립1915 예천불교회 조직 (노동자 대상 야학)1917 예천포교당, 김룡본말사 공동사업으로 전환1921 야학회, “불교유일야학회”로 불림1921 권상로와 함께 1개월간 대구 방문, 통도사, 범어사에 머묾. 8월 21.통도사 주지 김구하, 김룡사 안석연에게 100원 대출 주장1922 4월 야학회, 여자부 개설, 9월 여자부를 주학으로 변경 예천불교유일학원 (醴泉佛敎唯一學院)으로 개칭, 포교사 곽유종, 감원 김용주 부임.1923 유일학원, 불교교당 신축문제,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 출자문제, 전국적 가뭄 등 재정 문제 등, 3월, 안진호 횡령문제 연루, 도주, 안동지청 검사국에서 기소중지 처분, 행방불명 상태, 10월 경 통도사 주지 김구하 안석연에게 500원 대출 주장.1924 유일학원 폐지30대 소금장수40대 등유장수1925 경북에서 서울로 근거지 이동, 이회광(李晦光, 1862~1933)이 운영하던 정동 중앙포교소. 1월부터 글쓰기 시작. 사단법인 조선불교단 ‘내지불교(內地佛敎) 견학’ 사업의 제1회 사업에 중앙포교소 승려로 참여, 8.20. 일본 청수사, 흥복사 및 법륭사 등에서 숙박하면서 간사이(關西) 지역을 탐방, 9월 2일 서울로 귀국1931 년까지 지속적으로 글쓰기1935 만상회(卍商會) 설립(56), 석림의범(釋門儀範) 출간1942 신편팔상록 新編八相錄)1945 해방이후 만상회를 ‘법륜사(法輪社)’로 개칭1957 현토 절요 출간(마지막 출판)
저술
《불교》 (佛敎社) 등에 60여 건의 글《불자필람 佛子必覽》《석문의범 釋門儀範》(불자필람의 증보?)《초발심자경문》《치문(緇門》《서장(書狀선요(禪要)도서(都序절요(節要》 현토 주해《석문의범석문가곡(釋門歌曲), 다비문(茶毘文)》《목련경지장경법화경》 번역《팔상록영험실록 灵驗實錄》 등 60종 이상 간행《봉선본말사지(奉先本末寺誌)》 19271926년 《신흥사지(新興寺誌)》설봉산석왕사약지(雪峰山釋王寺略誌)》가 1934년 5월 20일 《설봉산석왕사약지》와 같은 날짜, 같은 인쇄소(鮮光印刷所)에서 《도봉산망월사지》가 인쇄, 발간되었다. 《도봉산망월사지》1937년 안진호 편찬의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설악산 신흥사지》 《설봉산 석왕사약지》 《도봉산망월사지》 《삼각산화계사약지》, 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