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 가
을/를 乙
하다 ㅎ 爲 / 丷
ㄴ
또한 / 또 ㅎ, ㄴ
또한 / 또 ㅎ, ㄴ
이 / 利
ㅅ / 의 / 비로소 叱 (속격조사)
호
可 가
)(가), (거), 戒(겨), (고), (과), (나), (노), (녀), (니),
(), (ㄴ/은), (다), (대), (더), (더), (), (뎌),
(뎬), (도), (드), (), (디), (), (라), (려), (려),
(려), (로), (리), (ᄅ/을), (마), (마), (며), (면), (믈),
(미), (미), (ㅂ/읍), (샤), (샤), (셔), (셔), (쇼),
(시), (), (), (ㅅ), (아), (어), (여), (야), (야),
(오), (와), (요), (위), (위), (의), (이), 哀(), (저),
(하), (호), (히), ()
남경란(2000)에서 제시한 능엄경의 음독구결
可 가
)(가), (거), 戒(겨), (고), (과), (나), (노), (녀), (니),
(), (ㄴ/은), (다), (대), (더), (더), (), (뎌),
(뎬), (도), (드), (), (디), (), (라), (려), (려),
(려), (로), (리), (ᄅ/을), (마), (마), (며), (면), (믈),
(미), (미), (ㅂ/읍), (샤), (샤), (셔), (셔), (쇼),
(시), (), (), (ㅅ), (아), (어), (여), (야), (야),
(오), (와), (요), (위), (위), (의), (이), 哀(), (저),
(하), (호), (히), ()
남경란(2000)에서 제시한 능엄경의 음독구결
可 가
)(가), (거), 戒(겨), (고), (과), (나), (노), (녀), (니),
(), (ㄴ/은), (다), (대), (더), (더), (), (뎌),
(뎬), (도), (드), (), (디), (), (라), (려), (려),
(려), (로), (리), (ᄅ/을), (마), (마), (며), (면), (믈),
(미), (미), (ㅂ/읍), (샤), (샤), (셔), (셔), (쇼),
(시), (), (), (ㅅ), (아), (어), (여), (야), (야),
(오), (와), (요), (위), (위), (의), (이), 哀(), (저),
(하), (호), (히), ()
남경란(2000)에서 제시한 능엄경의 음독구결
中 / 에 (처격조사)
以 / 으로 (도구격조사)
者 은/는
自 부터
之 다 (평서형 종결어미)
也 다 (평서형 종결어미)
乙 을/를 (목적격조사)
乃 나 (연결어미) ~나 ~나
旀 며 (연결어미)
良 아 (연결어미) 어 하였던
隱 은
是 이 이다 / 받게 한
如 다 / 때에 / 하다가
厼 곰 ~서
只 ㄱ 唯只 오직
可 가
巨 거/커
古 → 口 고/코 '하고'
果 과
那 나
奴 → 又 노/로
尼 → 匕 니
多 → 夕 다
大 대
代 → 弋 대
刀 도
羅 → 罖 → 亽 나/라
驢 → 驴 → 户 러
里 → 曰 리
馬 → 与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