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명상은 기본적으로 어떤 '관념(언어)' 또는 '의식' 또는 '진리', '사물', '종교적 대상' 등 "특정한 대상에 대한 관찰"이다. 관념에 대한 관찰은 중국의 불교명상인 간화선(看話禪), 의식이나 진리, 사물 등에 대한 관찰은 남방불교의 수행인 위빠사나(vipassana), 종교적 대상은 부처님을 생각하는 불수념(佛隨念, buddhānusmṛti / buddhānussati), 염불(念佛) 등이 있다. 사물등에 대한 관찰한 의식을 집중하기 위해 남방불교 수행에서 그 대상을 kammaṭṭhāna(業處, 수행의 집중대상) 라고 하여 10개의 주제, 세부적으로는 40개의 대상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samatha(定, 止)와 vipassanā(慧, 觀) 등 크게 두 가지로 수행과정의 심리상태를 구분하거나, 구체적 수행방벙의 장르로 오정심관(五停心觀) 등, 불교수행에는 다양한 분류와 체제가 있다.불교명상은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문화, 전통, 문헌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불교명상의 뚜렷한 특징은 어떤 특정한 대상을 관찰하면서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의식의 흐름도 타자화 하여 개입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불교명상은 마음의 방향, 의식의 흐름, 호흡, 자세 등을 특별하게 의도, 결정, 개입하지 않고 철저하게 관찰만 하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다.DBTS 북전 및 동아시아 전통- Yogācārabhūmi-Śāstra 瑜伽師地論 유가사지론
- 달마다라선경 達摩多羅禪經 (廬山禪經)
- 안반수의경 安般守意經
- 좌선삼매경 坐禪三昧經 (關中禪經)
- 수행도지경 修行道地經
- 반주삼매경 般舟三昧經
- 아비달마구사론 阿毘達磨俱舍論
초기경전과 빨리어 전승-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大念處經
- Ānāpānasatisutta 入出息念經
- Kāyagatāsatisutta 身至念經
- Satipaṭṭhānasaṃyutta 念處相應
- Ānāpānasaṃyutta 入出息相應
- Paṭisambhidāmagga 無碍解道
- Visuddhimagga 淸淨道論
4념처 - 몸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身隨觀, kāyāynupassin)(14)
1)호흡, 2)동작, 3)행동, 4)32가지의 요소, 5)4대 요소 (四界), 6~14)시체의 부패 과정에 대한 9단 계의 관찰 - 느낌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受隨觀, vedanānupassin)(9)
1)즐거운 느낌, 2)괴로운 느낌, 3)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4)육체적 즐거운 느낌, 5)정신적 즐거운 느낌, 6)육체적인 괴로운 느낌, 7)정신적 괴로운 느낌, 8)육체적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9)정신적인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 마음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心隨觀, cittānupassin)(16)
1)탐욕있음, 2)탐욕없음, 3)분노있음, 4)분노없음, 5)어리석음이 있음, 6)어리석음이 없음, 7)산란함이 있음, 8)산란함이 없음, 9)넓은 마음이 있음, 10)넓은 마음이 없음, 11)우월한 마음이 있음, 12)우월한 마음이 없음, 13)고요한 마음이 있음, 14) 고요한 마음이 없음, 15)해탈한 마음이 있음, 16)해탈한 마음이 없음 - 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法隨觀, dhammānupassin)(5)
1)다섯 장애(五蓋), 2)다섯 집착된 온(五取蘊)에 대한 알아차림, 3)여섯 터전(六入處)에 대한 알아차림, 4)일곱 깨달음의 요소(七覺支)에 대한 알아차림, 5)사성제(四聖諦)
임승택 Lim, Seung-Tae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四念處)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