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 More
    • Home
    • about
    • moment
    • images
      • temples
      • Museum Catalogue
      • Bud.Tres.
      • 고려불화
    • sangha
      • 승전
      • 법랑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1600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40-1708 풍계명찰
        • 1622-1684 취여삼우
        • 1676-1750 설송연초
      • 1700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
      • 금우필기
      • 1840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2-1936 경운원기
        • 1855-1928 수월음관
        • 1858-1934 월초거연
      • 1860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1880
        • 불국사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정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완규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900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61 초부적음
        • 1901-1983 향봉향눌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2000 운경기홍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2003 서옹상순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3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30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03 월암정대
        • 1937 정진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 법성우송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7-2014 성안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index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역대주지목록
        • 석지통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지엄경성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차
        • 치성광여래
      • 타
        • 탁효정
        • 통정대부참서관장공호진영세불망비
        • 통도사
        • 통록촬요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W
      • X
      • Y
      • Z
      • Num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8금강
      • Untitled page
⟨⟨ 하
훈요십조訓要十條

二十六年(943年)夏四月,禦內殿召大匡樸述希親授訓要曰:

朕聞大舜耕歷山,終受堯禪;高帝起沛澤,遂興漢業。朕亦起自單平,謬膺推戴,夏不畏熱,冬不避寒,焦身勞思,十有九載,統一三韓,叨居大寶二十五年,身已老矣。第恐後嗣縱情肆欲,敗亂綱紀,大可憂也。爰述訓要,以傳諸後,庶幾朝披夕覽,永為龜鑑。



訓要(훈요)[편집]

其一曰:

我國家大業必資諸佛護衛之力,故創禪、教寺院,差遣住持焚修,使各治其業。後世奸臣執政,徇僧請謁,各業寺社,爭相換奪,切宜禁之。


其二曰:

諸寺院皆道詵推占山水順逆而開創。道詵雲:“吾所佔定外,妄加創造,則損薄地德,祚業不永。”朕念後世國王、公侯、后妃、朝臣各稱願堂,或增創造,則大可憂也。新羅之末,競造浮屠,衰損地德,以底於亡,可不戒哉?





其三曰:

傳國以嫡,雖曰常禮,然丹朱不肖,堯禪於舜,實為公心。若元子不肖,與其次子;又不肖,與其兄弟之從所推戴者,俾承大統。

왕위계승은 맏아들로 함이 상례이지만, 만일 맏아들이 불초할 때에는 둘째 아들에게, 둘째 아들이 그러할 때에는 그 형제 중에서 중망을 받는 자에게 대통을 잇게 하라.



其四曰:

惟我東方,舊慕唐風,文物禮樂,悉遵其製。殊方異土,人性各異,不必苟同。契丹是禽獸之國,風俗不同,言語亦異,衣冠制度,慎勿效焉。

우리 동방은 예로부터 당(唐)의 풍속을 숭상해 예악문물을 모두 거기에 좇고 있으나, 풍토와 인성이 다르므로 반드시 같이할 필요는 없다. 거란(契丹)은 금수의 나라이므로 풍속과 말이 다르니 의관제도를 본받지 말라.




其五曰:

朕賴三韓山川陰佑以成大業,西京水德調順,為我國地脈之根本、大業萬代之地,宜當四仲巡駐,留過百日,以致安寧。





其六曰:

朕所至願,在於燃燈、八關。燃燈所以事佛,八關所以事天靈及五嶽名山、大川龍神也。後世奸臣建白加減者,切宜禁止。吾亦當初誓心,會日不犯國忌,君臣同樂,宜當敬依行之。


7조[편집]

其七曰:

人君得臣民之心為甚難,欲得其心,要在從諫遠讒而已。從諫則聖,讒言如蜜,不信則讒自止,又使民以時,輕徭薄賦,知稼穡之艱難,則自得民心,國富民安。古人云:“芳餌之下,必有懸魚。重賞之下,必有良將。張弓之外,必有避鳥。垂仁之下,必有良民。”賞罰中,則陰陽順矣。

임금이 신민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그 요체는 간언을 받아들이고 참소를 멀리하는 데 있으니, 간언을 좇으면 어진 임금이 되고, 참소가 비록 꿀과 같이 달지라도 이를 믿지 아니하면 참소는 그칠 것이다. 또, 백성을 부리되 때를 가려 하고 용역과 부세를 가벼이 하며 농사의 어려움을 안다면, 자연히 민심을 얻고 나라가 부강하고 백성이 편안할 것이다. 옛말에 “향긋한 미끼에는 반드시 고기가 매달리고, 후한 포상에는 좋은 장수가 생기며, 활을 벌리는 곳에는 새가 피하고, 인애를 베푸는 곳에는 양민이 있다”고 하지 아니하였는가. 상벌이 공평하면 음양도 고를 것이다.

8조[편집]

其八曰:

車峴以南,公州江外,山形地勢,並趨背逆,人心亦然。彼下州郡人參與朝廷,與王侯、國戚婚姻,得秉國政,則或變亂國家,或銜統合之怨,犯蹕生亂,且其曾屬官寺奴婢、津驛雜尺,或投勢移免,或附王侯宮院,姦巧言語,弄權亂政,以致災變者,必有之矣。雖其良民,不宜使在位用事。

차현(車峴) 이남, 공주강 밖의 산형지세가 모두 본주(本主)를 배역(背逆)해 인심도 또한 그러하니, 저 아랫녘의 군민이 조정에 참여해 왕후(王侯) · 국척(國戚)과 혼인을 맺고 정권을 잡으면 혹 나라를 어지럽히거나, 혹 통합의 원한을 품고 반역을 감행할 것이다. 또 일찍이 관노비나 진 · 역의 잡역에 속했던 자가 혹 세

其九曰:

百群僚之祿,視國大小,以為定制。不可增減,且古典雲:“以庸制祿,官不以私。”若以無功人及親戚私暱虛受天祿,則不止下民怨謗,其人亦不得長享福祿。切宜戒之。又以強惡之國為鄰,安不可忘危,兵卒宜加護卹,量除徭役。每年秋閱,勇銳出眾者隨宜加授。

무릇 신료들의 녹봉은 나라의 대소에 따라 정할 것이고 함부로 증감해서는 안 된다. 또 고전에 말하기를 “녹은 성적으로써 하고 임관은 사정으로써 하지 말라”고 하였다. 만일 공적이 없는 사람이거나 친척과 가까운 자에게 까닭 없이 녹을 받게 하면 백성들의 원성뿐만 아니라 그 사람 역시 복록을 오래 누리지 못할 것이니 극히 경계해야 한다. 또 이웃에 강폭한 나라가 있으면 편안한 때에도 위급을 잊어서는 안 되며, 항상 병졸을 사랑하고 애달피 여겨 요역을 면하게 하고, 매년 추기(秋期) 사열(査閱) 때에는 용맹한 자에게 마땅히 승진시킬지어다.

10조[편집]

其十曰:

有國有家,儆戒無虞,博觀經史,鑑古戒今。周公大聖《無逸》一篇,進戒成王,宜當圖揭,出入觀省。

국가를 가진 자는 항상 무사한 때를 경계할 것이며, 널리 경사(經史)를 섭렵해 과거의 예를 거울로 삼아 현실을 경계하라. 주공(周公)과 같은 대성(大聖)도 「무일(無逸)」 1편을 지어 성왕(成王)에게 바쳤으니, 이를 써서 붙이고 출입할 때마다 보고 살피라.

十訓之終,皆結”中心藏之”四字,嗣王相傳為寶。



내 듣건대 순(舜)은 역산(歷山)에서 밭을 갈다가 요(堯)의 양위를 받았고, 한(漢) 고조(高祖)는 패택(沛澤)에서 일어나 드디어 한의 왕업을 이룩하였다. 나도 평범한 집안에서 일어나 잘못 추대되어, 더위와 추위를 무릅쓰고 마음과 몸을 몹시 고달피 해가면서 19년 만에 국내를 통일하고, 즉위 25년에 몸은 이미 늙었다. 행여나 후사들이 방탕하여 기강을 문란하게 할까 두려워하여 훈요를 지어 전하노니, 조석으로 읽어 길이 귀감으로 삼으라.


訓要(훈요)[편집]

1조

국가의 대업은 여러 부처의 호위를 받아야 하므로 선(禪) · 교(敎) 사원을 개창한 것이니, 후세의 간신이 정권을 잡고 승려들의 간청에 따라 각기 사원을 경영, 쟁탈하지 못하게 하라.


2조

신설한 사원은 도선(道詵)이 산수의 순(順)과 역(逆)을 점쳐놓은 데 따라 세운 것이다. 그의 말에, “정해놓은 이외의 땅에 함부로 절을 세우면 지덕(지력)을 손상하고 왕업이 깊지 못하리라” 하였다. 후세의 국왕 · 공후(公侯) · 후비(后妃) · 조신 들이 각기 원당(願堂)을 세운다면 큰 걱정이다. 신라 말에 사탑을 다투어 세워 지덕을 손상하여 나라가 망한 것이니, 어찌 경계하지 아니하랴.



3조[편집]

왕위계승은 맏아들로 함이 상례이지만, 만일 맏아들이 불초할 때에는 둘째 아들에게, 둘째 아들이 그러할 때에는 그 형제 중에서 중망을 받는 자에게 대통을 잇게 하라.




4조[편집]

우리 동방은 예로부터 당(唐)의 풍속을 숭상해 예악문물을 모두 거기에 좇고 있으나, 풍토와 인성이 다르므로 반드시 같이할 필요는 없다. 거란(契丹)은 금수의 나라이므로 풍속과 말이 다르니 의관제도를 본받지 말라.





5조[편집]

나는 우리나라 산천의 신비력에 의해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였다. 서경의 수덕(水德)은 순조로워 우리나라 지맥의 근본을 이루고 있어 길이 대업을 누릴 만한 곳이니, 사중마다 순수(巡狩)하여 100일을 머물러 안녕을 이루게 하라.





6조[편집]


나의 소원은 연등(燃燈會)과 팔관(八關會)에 있는 바, 연등은 부처를 제사하고, 팔관은 하늘과 5악(岳) · 명산 · 대천 · 용신(龍神) 등을 봉사하는 것이니, 후세의 간신이 신위와 의식절차의 가감을 건의하지 못하게 하라. 나도 마음속에 행여 회일(會日)이 국기(國忌)와 서로 마주치지 않기를 바라고 있으니, 군신이 동락하면서 제사를 경건히 행하라.


7조[편집]

其七曰:

人君得臣民之心為甚難,欲得其心,要在從諫遠讒而已。從諫則聖,讒言如蜜,不信則讒自止,又使民以時,輕徭薄賦,知稼穡之艱難,則自得民心,國富民安。古人云:“芳餌之下,必有懸魚。重賞之下,必有良將。張弓之外,必有避鳥。垂仁之下,必有良民。”賞罰中,則陰陽順矣。

임금이 신민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그 요체는 간언을 받아들이고 참소를 멀리하는 데 있으니, 간언을 좇으면 어진 임금이 되고, 참소가 비록 꿀과 같이 달지라도 이를 믿지 아니하면 참소는 그칠 것이다. 또, 백성을 부리되 때를 가려 하고 용역과 부세를 가벼이 하며 농사의 어려움을 안다면, 자연히 민심을 얻고 나라가 부강하고 백성이 편안할 것이다. 옛말에 “향긋한 미끼에는 반드시 고기가 매달리고, 후한 포상에는 좋은 장수가 생기며, 활을 벌리는 곳에는 새가 피하고, 인애를 베푸는 곳에는 양민이 있다”고 하지 아니하였는가. 상벌이 공평하면 음양도 고를 것이다.

8조[편집]

其八曰:

車峴以南,公州江外,山形地勢,並趨背逆,人心亦然。彼下州郡人參與朝廷,與王侯、國戚婚姻,得秉國政,則或變亂國家,或銜統合之怨,犯蹕生亂,且其曾屬官寺奴婢、津驛雜尺,或投勢移免,或附王侯宮院,姦巧言語,弄權亂政,以致災變者,必有之矣。雖其良民,不宜使在位用事。

차현(車峴) 이남, 공주강 밖의 산형지세가 모두 본주(本主)를 배역(背逆)해 인심도 또한 그러하니, 저 아랫녘의 군민이 조정에 참여해 왕후(王侯) · 국척(國戚)과 혼인을 맺고 정권을 잡으면 혹 나라를 어지럽히거나, 혹 통합의 원한을 품고 반역을 감행할 것이다. 또 일찍이 관노비나 진 · 역의 잡역에 속했던 자가 혹 세

其九曰:

百群僚之祿,視國大小,以為定制。不可增減,且古典雲:“以庸制祿,官不以私。”若以無功人及親戚私暱虛受天祿,則不止下民怨謗,其人亦不得長享福祿。切宜戒之。又以強惡之國為鄰,安不可忘危,兵卒宜加護卹,量除徭役。每年秋閱,勇銳出眾者隨宜加授。

무릇 신료들의 녹봉은 나라의 대소에 따라 정할 것이고 함부로 증감해서는 안 된다. 또 고전에 말하기를 “녹은 성적으로써 하고 임관은 사정으로써 하지 말라”고 하였다. 만일 공적이 없는 사람이거나 친척과 가까운 자에게 까닭 없이 녹을 받게 하면 백성들의 원성뿐만 아니라 그 사람 역시 복록을 오래 누리지 못할 것이니 극히 경계해야 한다. 또 이웃에 강폭한 나라가 있으면 편안한 때에도 위급을 잊어서는 안 되며, 항상 병졸을 사랑하고 애달피 여겨 요역을 면하게 하고, 매년 추기(秋期) 사열(査閱) 때에는 용맹한 자에게 마땅히 승진시킬지어다.

10조[편집]

其十曰:

有國有家,儆戒無虞,博觀經史,鑑古戒今。周公大聖《無逸》一篇,進戒成王,宜當圖揭,出入觀省。

국가를 가진 자는 항상 무사한 때를 경계할 것이며, 널리 경사(經史)를 섭렵해 과거의 예를 거울로 삼아 현실을 경계하라. 주공(周公)과 같은 대성(大聖)도 「무일(無逸)」 1편을 지어 성왕(成王)에게 바쳤으니, 이를 써서 붙이고 출입할 때마다 보고 살피라.

十訓之終,皆結”中心藏之”四字,嗣王相傳為寶。



한국불교문헌목록

DB. 미니멀한 불교사전, 庫佛祥 copyright ©D.Kang 2020-2025 | email pada.dic@gmail.com kakao open chat (https://open.kakao.com/o/gj0Ry0Pd) pass.5555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