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추정) 등에서 활동설악한 신흥사, 출가(정함)(19)유성출가를 듣고 설악산 신흥사에서 출가(은사, 설허雪墟)건봉사에서 보운긍엽(寶雲亘葉) 선실에서 향을 사르고 법통전수 (28)1894 강원도 간성 건봉사 주석(33세)1906 원종 창설(불교연구회), 종정 추대1910 한일병탄 성사 즉시 일본으로 직접 방문, 소토슈(曺洞宗)와 연합을 추진, 10.6일 성사 직후 조선총독부사찰령에 의해 부결됨.1911 12월 해인사 초대주지 (총독부)1912 조선불교선교양종각본산주지회의원(朝鮮佛敎禪敎兩宗各本山住持會議院) 1대 원장, 메이지 천황 추모 봉도식 및 49제 봉행1914 조선불교선교양종각본산주지회의원 3대 원장1915 불교진흥회 조직, 고문으로 조중응 추대1917 33본산연합사무소 위원장 김구하가 추진한 일본불교시찰단 참여, (강대련, 곽법경, 권상로 등 동참)1919 1920 3.1운동 직후 일본불교와 조선불교 임제종 합병을 추구, 강대련과의 갈등 등으로 실패, 봄 서울 정동貞洞 일대 부지를 인수, 해인사중앙포교소海印寺中央布敎所설립, 해인사 불상을 모심1923 이회광 사임탄원서 총독부 제출 (해인사 승려들)1924 해인사 주지에서 탈락, 조선불교대회 대법정(大法廷) 대법사(大法師)로1926 해인사 채무로 피소곽법경과 함께 정교일치(政敎一致)와 일선융화(日鮮融和)로 불교계를 개혁 건백서를 제출오대산과 건봉사, 금강산, 삼각산에 주석양산 통도사通度寺에서 하안거를 결제하고 성덕산에서 동안거를 결제하였다. 백양사白羊寺에 머물러 있다가 구곡九曲으로 들어가 수행2002 친일파 708 명단 등재2007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등재(대한민국 친일반민족 행위진상규명위원회)2008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등재(민족문제연구소)
특이사항/기타
군함 구입관련 일본과 비밀교섭, 반민족행위자 등재 , 한자와 일어 능통, 일본 혼간사(本願寺) 부산별원을 왕래하면서 일본승려들로부터 만국사기(萬國事記), 세계의 사진 등을 조선 청년 관리들에게 전함